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탕건

추천0 조회수 6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탕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조선시대에 벼슬아치가 망건의 덮개로 갓 아래에 받쳐 쓴 관(冠). <유래 및 정의> 『三國志』위서(魏書) 동이전(東?傳)에 의하면 부여 사람들은 모자를 금‚ 은으로 장식하였고 고구려에서는 대가주부(?加主簿)는 무후책(無後?)을 소가(小加)는 절풍변(折風弁)을 착용하였다고 한다. 『후한서(後漢書)』‚ 『남제서(南齊書)』‚ 『위서(魏書)』‚ 『북사(北史)』‚ 『남사(南史』‚ 『주서(周書)』‚ 『양서(梁書)』‚ 『수서(隋書)』‚ 『구당서(舊唐書)』‚ 『당서(唐書)』‚ 『한원(翰苑)』 등의 문헌에도 고구려 관모에 관한 기록이 보이는데 이에 의하면 무후책과 절풍변 이외에 절풍건‚ 절풍‚ 책‚ 나관‚ 조우관‚ 조우절풍변‚ 변‚ 피관‚ 자라소골‚ 조우소골‚ 금은녹이무후책 등의 모자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신라에서는 유자례(遺子禮)라고 하는 관과 흑건을 썼다. 통일신라시대에는 남자는 복두와 소립을 ‚ 여자는 관을 썼다는 기록이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보인다. 고려 때에는 『고려도경(高麗圖經)』과 『고려사(高麗史)』에 의하면 면류관‚ 오사고모‚ 복두‚ 조건‚ 사모‚ 고정립‚ 감투‚ 평정두건‚ 전모‚ 고정모‚ 유각평건‚ 사대문라건‚ 문라건‚ 문라두건‚ 죽관 등의 모자를 썼고‚ 군인들은 복두‚ 전각복두‚ 금화대모‚ 투구‚ 문라두건‚ 절각복두‚ 권착복두‚ 피변‚ 피몽수‚ 오사연모‚ 문라건을 썼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왕을 비롯하여 서민에 이르기까지 계급에 따라 다양한 모자가 있었으며 그 유물과 기록도 많이 전해지고 있다. 조선시대의 모자로는 면류관‚ 원유관‚ 통천관‚ 익선관‚ 전립‚ 복두‚ 공정책‚ 양관‚ 제관‚ 탕건‚ 초립‚ 감투‚ 평량자‚ 갓‚ 방립‚ 이암‚ 유각평정건‚ 조건‚ 동파관‚ 충정관‚ 정자관‚ 복건‚ 방건‚ 와룡관‚ 유건‚ 휘항‚ 풍차‚ 만선두리‚ 송낙‚ 고깔‚ 대삿갓‚ 화관‚ 족두리‚ 여자용 전립 등이 있었다. 개화기와 일제시대에는 서양의 의복이 전해지면서 실크해트(silk hat)‚ 중절모자‚ 맥고모자‚ 파나마모자와 같은 서양의 모자도 들어와 사용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모양은 앞쪽이 낮고 뒤쪽은 높아 턱이 졌다. 사대부 계층에서 평상시 쓴 것으로 망건보다 늦게까지 보급되었다. 탕건의 재료로서 중국에서는 마포나 사(紗)를 이용했으나 조선에서는 말총을 사용하였다. 탕건의 재료는 예로부터 평안도의 정주 ·안주‚ 호남의 완주‚ 제주에서 생산되었다. 제주는 오랫동안 목마지(牧馬地)였기 때문에 여기에서 얻는 말총으로써 총모자 ·망건 ·탕건 등을 만드는 마미(馬尾) 공예가 발달하였다. 탕건을 만드는 장인을 탕건장(宕巾匠)이라 한다. 오늘날에는 탕건 만드는 기술이 제주의 몇몇 여성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본 박물관의 것은 말총으로 만든 표준형의 탕건이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모자‚ 탕건(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