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산소통

추천0 조회수 17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산소통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산소통으로 선박에서 잠수할 때 쓰인다. <발달과정/역사> 제작자·제작년도 미상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잠수기의 종류 중 순환자급식 수중호흡기는 산소통·재호흡대(再呼吸袋)·탄산가스흡수장치로 된 단독잠수인데‚ 10m 이상의 잠수는 위험하다. 호흡된 산소는 탄산가스 흡수장치를 통해 재호흡대로 들어가 다시 호흡되며‚ 산소가 희박해질 때까지 되풀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쿠버 다이빙을 할 때 쓰는 애쿠아랑(aqualung)은 산소통이 아니고 압축된 공기가 들어 있는 공기통입니다. < 2264 리터의 공기를 10.5리터의 공기 통에 압축해서 넣는 것입니다. 알다시피 공기는 산소로만 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질소와 산소 그리고 약간의 이산화 탄소 아르곤 등이 있지요. 압축공기를 쓰는 이유는 물속의 압력과 비슷한 압력의 공기를 마셔야 폐가 찌그러지지 않기 때문 입니다. 사람은 숨을 쉴 때 지구 대기인 질소 79%와 산소 20% 그리고 약 1% 남짓한 이산화 탄소 아르곤 수증기 들을 마셨다가 내쉴 때 다시 16%의 산소와 79%의 질소 그리고 5%의 이산화 탄소를 버립니다. 질소는 그냥 흡입되었다가 다시 나가 버려서 아무 일도 하지 않지만 질소의 역할은 우리 인체가 너무 많은 산소를 흡입하는 것을 막는 구실도 하지요. 왜냐하면 우리 인체는 너무 많은 산소를 흡입하게 되면 산소 중독으로 잘못하면 죽게 됩니다. 헬륨을 넣는 이유가 있습니다. 심해 잠수를 하는 경우에는 수심 60m이상 들어가면 질소마취 현상이 일어 납니다. 그래서 질소 대신 훨씬 더 안정한 기체인 헬륨을 넣으면 마취 현상이 질소보다 20%정도로 줄어 듭니다. 그래서 헬륨을 질소대신 넣는 것입니다. 그러나 헬륨에도 단점이 있는데 목소리가 변하는 것이 그것이고 다른 하나는 열전도율이 질소보다 7배나 높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심해에서 체온유지에 문제가 될 수 있지요. 목소리가 변하는 이유는 음파는 헬륨이라는 매질에서는 공기 중보다 3배나 속도가 빠르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음파의 주파수가 올라가고 당연 높은 톤의 목소리가 나오게 됩니다. 고압에 상태에서 100%의 순수한 산소는 독성을 가집니다. 깊은 수심에서 순수한 산소를 마실 경우 주요 증상은 메스꺼움‚ 근육경직‚ 시각 및 청각 장애‚ 호흡장애‚ 혼동‚ 피로 감등이며 심할 경우 의식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보통 스쿠버 다이빙은 제한 수심이 40m입니다. 그 이유가 바로 산소 중독때문인데‚ 영국의 달톤이 제시한 부분압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수중에서 압력에 변화는 10M 마다 1기압이 추가됩니다. 우리가 생활하는 대기공간은 1기압을 유지합니다. 수심 10M는 2기압이‚ 20M는 3기압‚ 30M는 4기압‚ 40M는 5기압으로 이런식으로 수심 증가에 따라 기압도 증가한다. 40M 수심에서는 5기압의 압력을 받습니다. 위에 공기 혼합비율 중에서 산소의 비율이 얼마였습니까 바로 21% 였지요. 이것은 즉 0.2 (산소비율)X 5기압= 1(부분압)이라는 수치를 만들어 준다. 즉 5기압은 40M를 의미하는데‚ 일반 공기를 가지고 40M를 들어갔다면 40M 수심에서는 부분압이 1기압이므로 100%의 순수한 산소를 마신다는 결론이 나오는 것입니다. 체질에 따라 다르지만‚ 산소 중독 현상 올 수 있다는 이론이 성립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일반 레크레이션 다이빙에서는 40M를 제한수심으로 하고 있습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