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쓰개

추천0 조회수 194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쓰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머리를 보호하고 맵시를 내주며 때로는 신분을 표현하거나 감추기 위해 머리에 쓰는 물건의 총칭. <개설> 관(冠)·복두·모자·삿갓·두건·수건·가발 등이 포함되는데‚ 시대와 신분‚ 지역과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쓰개는 머리를 보호하고 방한·방서를 위하여‚ 또는 예식을 위하여 사용된다. 재료는 포백(布帛)·가죽·솜·종이·짚 등이 쓰인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김성규 부인이 사용하던 쓰개로 별 다른 문양이나 특징은 없으며. 맵시를 위해 사용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발달과정및 역사> 삼국시대의 쓰개에는 절풍·나관(羅冠)·소골(蘇骨) 및 조우관(鳥羽冠) 등이 있었고‚ 통일신라시대에 오면 진골대등(眞骨?等)에서 평인에 이르기까지 견직물로 만든 복두를 썼다. 고려시대에는 주로 복두를 썼는데‚ 여자의 쓰개로 일명 개두(蓋頭)라고 하는 몽수(蒙首)가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왕의 면류관·원유관·익선관‚ 백관의 금관·복두‚ 학생의 치포건(緇布巾)‚ 사족(士族)과 서민의 흑립(黑笠)·초립(草笠) 등 그 종류가 많았다. 이외에도 방한용 쓰개인 남바위·조바위·아얌 등과 여자들이 몸과 얼굴을 가리기 위하여 쓰던 너울·쓰개치마·장옷·천의 등이 있었다. <세부사항> *김성규 김성규는 조선후기의 문신·학자이며 자는 보형(寶衡). 호는 초정으로 연풍(延豊) 출생이다. 유학(儒學)과 수학(數學)을 공부하고 1887년(고종 24) 광무국주사(鑛務局主事)가 되어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같은 해 주차영덕아의법전권공사(箚英德俄義法全權公使: 영국·독일·러시아·벨기에·프랑스공사)의 서기관이 되어 유럽 지역으로 나갔다가 1889년 귀국하였다. 1891년 식년문과에 급제‚ 승정원급분(承政院給分)·상의원주부(尙衣院主簿) 등을 지내고 이어 고창(高敞)·장성(長城) 등의 군수로서 선정을 베풀었다. 1904년 정부가 지방의 부정부패를 일소하고자 청렴결백한 관리를 뽑아 지방으로 보내게 되자 강원도 순찰사로 뽑혀 강원도의 탐관오리를 숙청하였으나 조정권신들의 모함을 받아 1905년 파직되었다. 관직에서 물러난 뒤 무안(務安)으로 옮겨 목포·장성 등지에 학교를 세워 후진을 양성하는 교육사업에 힘썼으며‚ 1908년 조정에서 정2품의 품계를 내렸으나 받지 않았다.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한때 나병에 걸렸는데 이때 비관 끝에 《병오사(病烏詞)》를 지었다. 시문에 능하고 글씨도 잘 썼으며 문집에 《초정집》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6‚ 1991 / http://kr.yahoo.com / http://www.naver.com /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