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원삼

추천0 조회수 43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원삼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여자들이 혼례시에 입던 예복(禮服). <유래> 조선시대 초기에 명나라에서 들어온 장삼‚ 즉 장배자(長褙子)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김성규 부인이 사용하던 옷이다. 원삼이란 조선시대부터 부녀자들이 입던 예복(禮服)을 뜻한다. 원삼이란 말은 깃이 둥근 데에서 온 명칭이다. 원삼은 뒷길은 바닥에 닿을 정도로 길고 앞길은 무릎을 덮을 정도이며‚ 앞여밈은 합임(合父: 섶이 없이 서로 맞대어진 형태)이고‚ 양옆은 터져 있다. 소매는 색동을 연결하고 소매 끝에는 한삼(汗衫)을 달았다. <세부사항> *원삼 원삼은 조선시대 초기에 명나라에서 들어온 장삼‚ 즉 장배자(長褙子)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왕비 이하 내·외명부들의 예복으로 착용되었다. 왕비·세자빈·세손빈은 소례복으로‚ 대군부인 이하 상궁과 관직자 부인(官職者?人)은 대례복으로 입었다. 색상은 직위에 따라 차이가 있어 황후는 황원삼‚ 왕비는 홍원삼‚ 비빈은 자적원삼‚ 공주·옹주·반가부녀는 초록원삼을 입었다. 직물은 겨울에는 단(緞)을‚ 여름에는 사(紗)를 사용하였다. 앞은 고름을 달아 여미기도 하고 칠보로 장식된 원삼 단추를 달기도 하였다. 가슴에는 대대를 매고 머리에는 족두리를 쓴다. 이 원삼의 겉감으로는 연두색공단을 썼으며‚ 안감은 무늬 없는 홍색 명주를 받쳤다. 소매에 남·황·홍·녹·백색의 색동과 한삼을 달아 음양오행을 나타내었다. 반가에서 혼례복으로 사용되었던 옷이다. *김성규 김성규는 조선후기의 문신·학자이며 자는 보형(寶衡). 호는 초정으로 연풍(延豊) 출생이다. 유학(儒學)과 수학(數學)을 공부하고 1887년(고종 24) 광무국주사(鑛務局主事)가 되어 관직생활을 시작하였다. 같은 해 주차영덕아의법전권공사(箚英德俄義法全權公使: 영국·독일·러시아·벨기에·프랑스공사)의 서기관이 되어 유럽 지역으로 나갔다가 1889년 귀국하였다. 1891년 식년문과에 급제‚ 승정원급분(承政院給分)·상의원주부(尙衣院主簿) 등을 지내고 이어 고창(高敞)·장성(長城) 등의 군수로서 선정을 베풀었다. 1904년 정부가 지방의 부정부패를 일소하고자 청렴결백한 관리를 뽑아 지방으로 보내게 되자 강원도순찰사로 뽑혀 강원도의 탐관오리를 숙청하였으나 조정권신들의 모함을 받아 1905년 파직되었다. 관직에서 물러난 뒤 무안(務安)으로 옮겨 목포·장성 등지에 학교를 세워 후진을 양성하는 교육사업에 힘썼으며‚ 1908년 조정에서 정2품의 품계를 내렸으나 받지 않았다.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한때 나병에 걸렸는데 이때 비관 끝에 《병오사(病烏詞)》를 지었다. 시문에 능하고 글씨도 잘 썼으며 문집에 《초정집》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