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소년상투각액자

추천0 조회수 8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소년상투각액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액자(額子) 그림·글씨·사진 따위를 넣어 벽에 걸기 위한 틀. 액틀. <역사> 초기 유럽의 도자기도 말아 쌓아 올리거나 문양을 새기고 표면을 닦아 회색 토기를 제작하였으나 로마로부터 물레 사용법이 들어옴에 따라 늦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로마가 망한 후 수세기 동안 유약을 바르지 않은 것을 만들었고‚ 14세기에 점차 채색 토기 형식의 것을 물레 성형하고 납유약을 사용하여 장식 효과를 발전시켰다. 16세기초에는 석기를 만들어 소금유를 칠하는 것으로 발전했으며‚ 18세기에는 영국에서 본차이나가 만들어 졌다 <일반적특징> 음식을 담거나 다른 그릇의 밑에 받쳐 사용하기도 한다. 원래는 우묵한 사발의 일종이던 것이 운두가 낮은 납작한 그릇으로 변한 것이다. 중국에서는 예전에는 접시라는 뜻으로 반(盤)이라는 글자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은(殷)시대에는 청동제의 반이 있었다. 그러나 이것은 식기가 아니라 손을 깨끗이 씻기 위한 물을 담는 일종의 제기(祭器)였다. 그러므로 굽이 높고 깊이도 조금 깊었다. 그러나 반이 원래 식기라는 것은 《설문(說文)》에 음식을 담는 용기라고 씌어 있는 것으로도 알 수 있다. 중국의 반은 비교적 깊어 사발에 가까운 큰 접시를 말하고 작은 접시는 첩이라고 하여 구별하였다. 주대(周代)부터 한대(漢代)까지의 반은 청동제가 많았는데‚ 수(隋)나라를 거쳐 당(唐)시대로 내려오면서 은제기로 바뀌고 아름다운 것이 많아져 삼채(三彩)의 도제가 나타났는데‚ 그 후부터 도자제가 주류를 차지하게 되어 송대(宋代)에 완성되었다. 서양 접시의 기원을 보면 옛날에는 음식을 나뭇잎이나 나무쪽 또는 편평한 돌에 담았는데‚ 이집트에서는 정교한 금속제의 접시나 채색한 토제(土製)의 접시가 있었다. 이것이 유럽이나 근동지방으로 보급된 것이다. 또한 고대 그리스에는 토기의 접시가 있어서 이것이 발달하여 17세기경 현재의 서양식 접시로 발달되었다. 서양식 접시를 분류하면 중접시를 플레이트(plate)‚ 작은 접시를 디시(dish)‚ 대형평접시를 플래터(plater)‚ 찻종받침을 소서(saucer)‚ 재떨이 접시를 트레이(tray)라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종류가 많아 큰 접시는 육류를 담고‚ 중접시는 과자‚ 빵‚ 샐러드 등을‚ 작은 접시는 치즈나 버터를 담고‚ 깊은 접시는 수프를 담는다. 그리고 열에 견딜 수 있는 접시는 그라탱을 담는다. 이 유물은 유명회화를 접시에 부착한 것으로‚ 회화성이 짙은 접시 액자이다. 그림에서 소년둘은 공기놀이를 하고 있으며 그 왼편에 소년은 빵을 먹고 서 있다. 그리고 그 바닥으로는 과일과 빵을 넣은 바구니가 있다. 장식 접시의 측면은 투각장식을 하였고 특히 꽃무늬를 그 투각의 된 좁은 선들을 장식하여 매우 장식적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