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유럽머그잔

추천0 조회수 5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유럽머그잔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액체를 담는 작은 그릇. <개설> 보통 ‘잔’으로 다 통하고 있으나 한자어로는 잔(盞)·잔(彿)·배(動)·배(杯)·배(盃)·작(爵) 등을 쓰고 있으며‚ 완(燔)·완(碗)·완(椀)·구(鵠) 등도 잔의 뜻으로 쓰일 때가 있다. 잔(彿)·배(動)·배(杯)·작(爵)은 각각 옥(?)·흙(질)·나무·금속으로 만든 재질의 이름이며‚ 잔(盞) 또는 배(盃)는 불로 구운 도자기 재질을 뜻하면서 굽이 있는 잔임을 나타낸다. 나아가 어떤 쓰임새를 나타내게도 되는데 보통 작은 제례·의례용의 잔이 된다. <일반적특징> 잔의 재질은 금·은·청동·금동·쇠·구리 등의 금속‚ 옥·수정·곱돌〔蠟石〕 등의 석재‚ 흙으로 된 토기‚ 청자·백자·분청(粉靑)‚ 그 밖에 나무·유리·칠보 등 다양하다. 오늘날에는 스테인리스·합성수지 같은 인조재질도 많다. 잔은 예로부터 생활용 및 부장용(副葬用)‚ 공양·의기용에 두루 쓰였다. 생활용에는 물잔·찻잔·술잔 및 등잔용 등으로‚ 공양·의기용은 술잔·찻잔 및 사리기로 쓰였음을 볼 수 있다. 잔의 구성은 뚜껑의 있고 없음‚ 굽의 있고 없음‚ 손잡이의 있고 없음으로 이루어지며 그 밖에 따로 잔대(盞臺‚ 盞托‚ 托盤)가 갖추어지기도 한다. 잔의 크기는 대·중·소(깍정이)가 있으며‚ 생김새는 여러 가지로 ① 통형(筒形)‚ ② 보시기형〔鉢形〕‚ ③ 바라기형〔燔形〕‚ ④ 상형(象形)‚ ⑤ 이형(異形) 등의 형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통형에는 원통형·사각통형·사각통의 모를 죽인 모죽임형이 있고‚ 보시기형에는 구부(口部)가 바로 선 직바리형과 안으로 오그라진 오목바리형이‚ 바라기형에는 입이 밖으로 살짝 휘어진 형과 매우 심하게 휘어진〔?反〕형이 있다. 상형에는 연꽃 같은 꽃송이형‚ 짐승의 뿔꼴인 뿔잔형〔角動形〕과 팽이꼴을 한 짧고 통통한 뿔잔형이 있고‚ 바가지 또는 복숭아형 및 안이 깊고 울이 높은 이른바 컵형의 아랫도리가 둥그스름한 종형(鐘形) 등이 있다. 잔의 손잡이는 외손잡이와 양손잡이〔兩耳〕로 나타내며 생김새는 고리손잡이와 고사리꼴의 서린손잡이가 있다. 굽은 낮거나 높은 통굽의 원통형과‚ 이른바 고배(高動)의 굽인 밑이 벌어진 나팔형이 있고‚ 다리굽에서는 삼족형(三足形)이 보인다. 굽이 없는 잔은 거의가 납작바닥〔平底〕이나‚ 원저(圓底)·원뿔형〔圓錐形〕도 있다. 잔의 장식은 겉에 갖은 무늬가 새겨지는 것 외에도 영락(瓔?)이 달리거나 뚜껑 등에 여러가지 토우(土偶)들이 장식되며‚ 굽에는 원형·삼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뚫린 구멍〔透孔‚ 透窓〕 치레도 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신석기시대부터 토기잔이 만들어지면서 청동기·초기철기·원삼국시대를 는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QEEN`S COLLECTION. HOOKER`S FRUIT (FINE BONE CHINA) MADE IN ENGLAND.라는 문구가 표기되어 있다.거쳐 가야·신라·백제 및 통일신라·고려·조선에 이르기까지 뛰어난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잔이 시대적인 특징을 띠고 만들어져 공예품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이 유물은 유럽에서 시작된 머그잔으로 주구가 넓어지고 몸통이 유선형의 곡선을 이루며 저부에서 살짝 벌어지는 형태를 하고 있다. 손잡이가 몸통의 상단부에서 하단부에 걸쳐 부착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고 있다. 주문양은 복숭아로 나뭇가지와 복숭아 열매가 전면에‚ 복숭아를 반으로 잘라 내면이 보이는 그림은 후면에 붙여 장식하였다. 구연의 내측은 초록의 잎사귀들을 연결하여 장식하였다. 바닥외면에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