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금동허리띠고리

추천0 조회수 2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금동허리띠고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가죽이나 천으로 된 허리띠의 양 끝을 걸어 고정시키는 금속구. <발달과정/역사> 초기철기시대부터 삼국시대 초기에 걸쳐서 널리 사용된 가죽이나 천 소재의 된 띠를 매기 위해 양끝에서 서로 끼워 맞추는 고리이다. ‘띠고리’라고도 하며‚ 허리띠 부속용구이다. <일반적 특징 및 형태> 본래 중국에는 대(帶)라는 허리띠가 있었으나 전국시대에 북방민족과의 교섭이 심화됨에 따라 호복(胡服)과 함께 중국에 전래되었다. 분포는 오르도스(Ordos)지방의 청동기시대 문화에 많이 나타나고‚ 시베리아‚ 동러시아‚ 남러시아에까지 확대되어 있다. 띠고리에 동물 의장(意匠)이 빈번하게 사용된 점은 북방 유목민족이 즐겨 사용하던 동기와 연결된다. 원래는 교구(沽具)와 함께 마구(馬具)의 일종이었다. 띠고리의 구조는 모두 같아 한 쪽 뒷면에 큰 단추모양의 돌기(突起)된 부분이 있어 혁대의 한 끝에 끼워 고정하고‚ 다른 한 끝을 휘게 만들어 혁대의 구멍에 걸도록 되어 있다. 제작재료는 동제품이 가장 많고 철제가 그 다음이며‚ 드물게 금 또는 은제품도 있다. 금속제품 이외에 옥제(?製)‚ 패제(貝製)‚ 파리제(厓璃製)도 있다. 표면장식을 금‚ 은‚ 옥‚ 청석(靑石) 등으로 상감(象嵌)한 것이 있고 금으로 도금한 것도 보이는데‚ 실용품 이상의 호화스러운 유물도 있다. 크기는 다양해 크게는 30㎝에서 작게는 2‚ 3㎝에 이르는 것도 있다. 형태도 거문고형〔琴形〕‚ 막대형〔棒形〕‚ 용트림형〔絡龍形〕‚ 수저형〔匙形〕‚ 새형〔鳥形〕‚ 비파형(琵琶形)‚ 호랑이형〔虎形〕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한반도에서 출토되는 띠고리는 한나라에서 수입된 순수한 중국식과 한반도에서 번안‚ 한국화한 한국식 띠고리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중국식은 평양 왕광묘(?光墓 : 정백리 127호)‚ 채협총(彩練塚 : 남정리 16호)‚ 석암리(石巖里) 194호분‚ 대동강면 제9호분‚ 전(傳)대동강변 출토품 등 낙랑 유적에서 주로 발견되고 있다. 평안남도 대동군 용악면 상리(上里)의 널무덤〔土壙墓〕‚ 평안북도 위원군 숭정면 용연동 등 한반도의 초기철기시대 유적에서도 나온다. 분포는 평양을 중심으로 평안북도‚ 평안남도에 집중되어 있다. 형식은 동물의장이 보이는 용연동 출토품을 제외하고는 모두 거문고형이거나 막대형이다. 한반도에서 중국식 띠고리가 발견되는 유적의 연대는 용연동 유적의 연대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즉‚ 요령성(遼寧省) 무순(撫順) 연화보 유적의 연대를 고려해 서한(西漢)초인 서기전 2세기로 비정할 수 있다. 하한은 낙랑유적이나 태성리유적을 근거로 하여 서기전후까지 내려올 수 있다. 에서 보이는 다른 호형‚ 마형 띠고리의 조형(祖形)으로 볼 수 있을 만큼 우수한 조각품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일찍부터 한반도에 들어왔던 중국식 띠고리의 형식에 스키타이 양식의 동물의장을 응용해 새로운 형식의 한국식 띠고리가 완성되었고‚ 그 양식이 시대가 내려오는 초기 삼국시대 고분에까지 계속되어 나타나는 것 같다. 따라서 한국식 띠고리는 어은동 유적의 연대인 서기 전‚후경에 시작되어 초기삼국시대 고분에까지 사용된 듯하다. 일본의 경우는 고분시대의 고분에서 마형띠고리가 나온 예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띠고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국고고학사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한국식 띠고리는 영천 어은동 출토의 호형‚ 마형을 비롯해 구미의 초기 삼국시대 고분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지는 마형도 있다. 그 밖에 출토지를 알 수 없는 호형‚ 마형들이 많이 발견되었다. 어은동 출토의 띠고리는 이제까지 중국식에서 보이지 않던 고리〔瑩〕가 완전하게 남아 있어 그 착장방법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중국식에 원래부터 이런 고리가 없었는지는 알 수 없다. 어은동 출토품 중에는 순수한 한나라식 유물과 한반도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한대의 본뜬거울〔倣製鏡〕‚ 북방유목민족의 영향으로 보이는 동물의장과 장식품 등이 풍부하게 발견되었다. 어은동의 띠고리는 형태나 무늬 수법으로 보아 한반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