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떡살

추천0 조회수 42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떡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떡‚ 특히 절편을 눌러 모양이나 무늬를 찍어내는 도장과 같은 판. <발달과정/역사> 떡살이 등장한 것은 절편의 등장과 맞물리는데‚ 16세기 중반에 지어진 ≪묵재일기≫에 절편에 관한 기록이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그 무렵에는 절편을 만들어 먹었을 것으로 보이며‚ 떡살도 대략 비슷한 시기에 쓰였을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흰떡이나 쑥떡 같은 것을 눌러 방형 또는 원형이 되도록 떡의 모양과 무늬를 찍어내는데 사용하는 도구가 떡살이다. 떡판이라고 하며‚ 떡손·병판(餠板)·병형(餠型)·성황판(城皇板)·화병판(畵餠板)·화병판(花餠板)·수복판(壽福板) 등으로도 불렸다. 고려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떡살은 누르는 면에 음각 혹은 양각의 문양이 있어서 절편에 찍으면 문양이 아름답게 남는다. 사용하는 방법은 적절한 크기로 잘라낸 떡에 물기를 묻혀서 떡살로 도장을 찍듯이 누르면 된다. 이렇게 찍은 떡은 어느 정도 굳으면 그 문양이 선명하게 나타난다. 떡살은 재질에 따라 나무떡살과 자기떡살로 나눌 수 있다. 단단한 소나무·참나무·감나무·박달나무 등으로 만드는 나무떡살은 1자 정도의 긴 나무에 4∼6개의 각기 다른 무늬를 새긴 것이다. 사기·백자·오지 같은 것 등으로 만드는 자기떡살은 대개 보통 5∼11㎝ 정도의 둥근 도장 모양으로‚ 손잡이가 달려 있어서 잡고 꼭 누르게 되어 있다. 특히 궁중에서 쓰던 사기떡살은 고급스러운 백자(白磁)로 만든 것이 많다. 형태는 원형과 장방형이 많은데‚ 둥근 것은 자기나 사기로 만드는 경우가 많았고‚ 네모난 것은 나무로 만드는 경우가 많았다. 나무떡살은 한번에 대여섯 개씩 찍어내는데 비해 사기떡살은 대개 떡을 1개씩만 찍어낼 수 있다. 떡살의 문양은 주로 부귀(富貴)와 수복(壽福)을 기원하는 뜻을 담고 있는 길상(吉祥)무늬를 비롯하여 장수와 해로를 뜻하는 십장생(十長生)·봉황·국수무늬(장수와 해로를 바라는 의미)‚ 잉어·벌·나비·새·박쥐 등의 동물무늬와 태극무늬(우주의 근원을 나타냄)‚ 빗살무늬 등의 기하학적 무늬‚ 만(卍)자 등의 불교적인 무늬와 꽃· 수레바퀴무늬 등 아주 다양하다. 특히 떡살의 문양은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어서 좋은 일‚ 궂은 일‚ 돌‚ 회갑 등 용도에 따라 다르게 사용했다. 단옷날의 수리치절편에는 수레무늬‚ 잔치떡에는 꽃무늬‚ 사돈이나 친지에게 보내는 떡에는 길상무늬를 찍었다. 특히 선물용으로 보내는 떡은 그 문양에 따라 보내는 사람의 마음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떡살의 무늬는 일반적으로 가문에 따라 독특한 문양이 정해져 있었다. 그 문양은 좀처럼 바꾸지 않문양은 전통적 디자인의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고‚ 떡살 자체가 하나의 장식품으로 기능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이 유물은 장방형의 떡살이다. 목재로 만들었으며 윗부분 손잡이는 덧대어 만든 것으로 생각된다. 전체문양은 6단으로 배치하였다. 격자문 기하문‚ 화문을 배치하였으며 손잡이 상단은 구멍이 뚫려 있다. <참고문헌> 한국민속대관 2(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0) 떡살의 이용양상과 문양의 의미(장상교‚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1)았을 뿐만 아니라 다른 집안에 빌려 주지도 않았다. 부득이하게 떡살의 문양을 바꾸어야 할 때에는 문중의 승낙을 받아야 할 만큼 집안의 상징적인 무늬로 통용되었다 오늘날에는 떡살이 점차 사라지는데‚ 그 원인은 기계화하고 전문화한 떡가게의 등장과 외래 음식의 소비 증가 등이 주요 원인이다. 특히 여성의 사회진출과 주거공간의 변화로 인해 가사노동의 대부분이 여성의 손을 떠나면서 복잡하고 번거로운 떡만들기는 점차 상업화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떡살도 가정 내에서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대신 떡살은 기계화하였고‚ 문양의 종류나 상징성도 그에 따라 점차 사라지고 있으나‚ 옛 떡살의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