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금동장식

추천0 조회수 31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금동장식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금속제로 만들어진 장신구. <발달과정/역사> 고고학상으로 알려진 바에 의하면 유럽에 있어서는 중기구석기시대에 장신구로 몸 치레를 하였다. 이 시기의 장신구는 짐승의 뼈?뿔 등으로 만든 간단한 머리꽂이라든가 가슴걸이 등이었는데‚ 후기구석기시대부터 신석기시대에 이르러서는 몸의 각 부분을 치레하는 여러 가지 장신구가 발달하였다. 이 시기에 이르러 장신구가 발달한 것은 몸 치레를 하여 자기를 돋보이게 하기 위한 욕구에서뿐만 아니라 다분히 주술적(呪術的)인 의도도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사회의 형성 및 발전과 더불어 장신구는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신분의 표상으로 한층 더 증가‚ 발달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는 신석기시대 유적에서 옥석을 갈아 만든 관옥(管?)이나 짐승 뼈로 만든 목걸이 장식이 발견된다. 이는 보다 발전된 단계인 청동기시대에 이르러서는 한층 더 다양해지고‚ 삼국시대에 이르러서는 고도의 공예기술로 만든 화려한 금?은?금동제의 장신구가 제작되어 널리 쓰이게 되었다. 그러나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있어서는 복식에 대한 국책상의 제약을 받아 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의 화려한 장신구와는 달리 질소한 면을 띠게 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순금 또는 은‚ 금동 등으로 만든 장신구이다. 항상 대칭으로 쌍을 이루는 것으로 어디에 사용하던 것인지는 불명확하다. 모양은 대개 원형이고 간혹 방형(方形)이 있다. 무늬는 섬세한 투각기법으로 장식되었는데‚ 동물무늬는 학?원앙?거북?잉어?용?벌?현무 등이고‚ 식물무늬는 연꽃?난초?매화 등이며‚ 연지동자나 기하학적 무늬도 있다. 이들 문양들은 모두 길상(吉祥)의 뜻을 갖고 있는 대표적인 것들로서‚ 이 장신구들이 여러 가지 길상적인 기원을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은 금속을 녹여서 도구를 만드는데 관한 일을 하는 장야서(掌冶署)에서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장신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대고려국보전-위대한 문화유산을 찾아서(1)(호암갤러리‚ 1995) 금속공예(최응천‚ 김연수‚ 솔출판사‚ 200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