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금동석장두

추천0 조회수 110 다운로드 수 4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금동석장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승려가 지니는 18물(物)의 하나. <개설> 유성장(有聲杖)·성장(聲杖)·지장(智杖)·덕장(德杖)이라고도 한다. 지팡이 형태는 머리부분의 석(錫)과 나무자루와 이를 아래에서 꽂은 금속의 촉 등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역사> 석장은 산스크리트어 Khakhara또는 Hikhara의 한역어 인데‚ 유성장(有聲杖)‚ 성장(聲杖)‚ 지장(智杖)‚ 덕장(德杖)‚ 금석(金錫)이라고 한다. 밤에 숲을 걷거나 걸식할 때 소리를 내어 독사나 독충 소‚ 개등을 쫓으며‚ 병들거나 나이가 많아 기력이 쇠하였을때 의지하기 위한 기물이다. 일반적으로 석장은 장두부‚ 병부로 나뉘어 진다. 장두는 보통 하트 모양의 큰 고리인데‚ 정상 또는 고리의 안에 보주나 보탑‚ 불상 등을 조각하고 큰 고리의 좌우에 여섯 내지 여덟개의 작은 고리를 매달아 소리가 나게한다. 병부는 나무를 주로 쓰는데 철제도 있다. <일반적 특징> 머리부분에는 보통 여섯 개의 고리가 달려 있는데 이를 육환장(六瑩杖)이라고 하며‚ 드물게는 12개의 고리가 달려 있는 것도 있다. 이 고리는 석장이 흔들릴 때마다 고리에서 소리가 나도록 하기 위하여 단 것이며‚ 길을 갈 때 이 소리를 듣고 기어다니는 벌레들이 물러가도록 하여 살생을 막는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신라의 유명한 조각승 양지(良志)는 자루를 단 석장을 허공에 날려보내 시주의 문전에서 소리를 내게 하여 시물을 거두었다고 한다. 또 의정(義?)의 ≪남해기귀내법전 南涇寄歸內法傳≫에 의하면 인도의 석장 역시 머리부분에 2∼3치 가량의 철권(鐵捲)이 있고‚ 아래에는 촉이 있으며 장대는 나무로 되었으며 높이는 어깨 높이와 같았다고 하였다. <대당서역기 ?唐西域記>에는 여래의 석장은 백철(白鐵)로써 고리를 만들고 전단향나무로써 대를 삼았다고 하였다. 국내의 현존하는 석장의 형태를 보면 금속으로 된 머리부분의 석환에는 중앙에 불상을 배치하고 그 주위에 두광과 신광 형태의 원형 고리를 넓게 돌리고 그 고리부분에 다시 6환(瑩)을 배치하였으며 이들 상부 중앙에는 여러 층의 탑형을 배치하였다. 이 같은 석환이 장대에 꽂히도록 되어 있고 아래의 땅과 접촉되는 부분에는 금속의 촉을 꽂았다. 근래에는 석장을 사용하는 수행승을 보기 어려우나 이전에는 보편적으로 지니고 다녔던 도구였다. 이 유물은 손잡이가 없는 석장두만 남아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연형의 고리 모양이 전체적으로는 아랫부분의 운문장식과 함께 하트형의 고리모양을 형성하고‚ 병부에 끼워지는 운문장식으로 만들어 지고 그 위에 부처의 독존 좌상이 연화대좌위 있다. 부처의 얼굴모양과 원형의 광배가 정교하게 조각되어 있으며 고리도 잘 남아 있는 귀중한 예이다. <참고문헌> 三國遺事‚ ?唐西域記‚ 南涇寄歸內法傳.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