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자물쇠

추천1 조회수 16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자물쇠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여닫게 되어 있는 기물에 채워서 열쇠가 없으면 열지 못하도록 잠그는 장치. <역사> 중국에서는 ≪예기 禮記≫나 ≪회남자 ?南子≫ 등 진(秦)·한의 문헌에서 이미 자물쇠에 관한 기록이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도 유물로 확인된 바에 의하면 삼국시대 이전으로 소급되는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충청남도 부여 부소산의 백제시대 성지에서 출토된 철제 자물쇠는 이러한 사실을 입증하는 최고(最古)의 유물이다. 이 자물쇠는 조선시대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 ㄷ자형 괴불자물쇠와 기능 및 형식에서 매우 비슷하다. 안압지에서도 개폐구조와 형식에서 앞의 부소산성 출토품과 일치하는 철제자물쇠가 발견되었다. 이로써 조선시대 이후까지의 자물쇠 형식의 흐름을 개략적으로나마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자물쇠는 쇄금(鎖金) 또는 쇄약(鎖貿)으로도 쓴다. 자물쇠는 크게 자물통과 잠글쇠 그리고 열쇠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시정장치(施錠裝置)의 주요기능은 일반적으로 자물통과 잠글쇠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자물쇠는 중요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고유 기능으로 인하여 일반기명과는 다른 성격을 가진다. 그러나 그것이 쓰이는 곳과 시대에 따라 구조 및 형태에서 다양한 변화와 발전을 보이고 있다. 특히 목가구의 제작과 더불어 발전하였는데 자물통의 형태가 붕어·용·박쥐·죽절 등 특정한 동식물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닮게 제작한 것과 같은 물상형의 경우에는 그 표현대상이 대부분 길상 또는 벽사적(陽邪的)인 상징성을 내포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붕어는 남아의 생산과 어변성룡(魚變成龍)이라 하여 출세를‚ 박쥐는 구복(求福)과 벽사를 함께 상징하고 있다. 자물쇠에 부여된 이러한 상징적 요소는 조선 말기에 들어 더욱 확산되면서 부분적으로는 형태를 작게 만들어 어린아이의 목에 걸어주거나‚ 장도와 함께 노리개 장식의 일부로 사용하는 등 자물쇠 본래의 기능과 다른 기복과 벽사의 상징물로 쓰이기도 하였다. 이 유물은 오늘날로 말하자면 열쇠를 이용해서 여는 자물쇠가 아닌 비밀번호를 이용해서 여는 자물쇠이다. 열쇠가 없는 것이 특징이며‚ 몸체에는 3개의 고리가 돌아가게 되어 있고‚ 각각의 고리에는 4개씩 글자가 음각되어 돌아가게 되어 있다. 먼저 왼쪽의 고리에는 ‘건완앙맹(乾碗仰孟)’‚ 가운데 고리에는 ‘양삼평육(良三平六)’‚ 마지막 고리에는 ‘왕건단곤(?建?坤)’이 음각되어 있어 이들 중 자물쇠를 열수 있게 하는 글자 하나씩을 3개의 고리에서 찾아내어 열도록 하는 장치이다. 잠금쇠가 연결되는 좌우의 앞판에는 각각 ‘연제(年製)’‚ ‘건륭(乾隆)’이란 글자가 음각되어 있다. 이는 이 자물쇠가 만들어진 시기가 건륭(乾隆)이란 연호를 사용했던 시기일 것으로 추정하면‚ 1735년부터 1795년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건륭의 음각글자 아래에는 ‘구(口)’자가 음각되어 있는데 이 ‘구’자의 위치에 맞게 비밀글자들을 나란히 배열하면 자물쇠가 열리게 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의 양옆에는 각각 물고기와 나비가 음각되어 있다. 비밀번호는 ‘맹육곤(孟六坤)’이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신문화연구원) <유상용어> 자물쇠‚ 자물통‚ 잠글쇠‚ 줏대‚ 속청‚ 열쇠‚ 쇄금(鎖金)‚ 쇄약(鎖貿)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