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파란매죽문비녀

추천0 조회수 22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파란매죽문비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부녀자가 쪽을 진 머리가 풀어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꽂거나‚ 관(冠)이나 가체를 머리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꽂는 장식품. 이를 표현하는 한자어로 잠(簪)·계(渠)·차(釵)가 있다. <역사> ≪증보문헌비고≫에는 단군이 나라 사람들에게 머리털을 땋고 머리를 가리는 법을 가르쳤다고 한다. 이와 같이 머리털을 정리하게 되면서 머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비녀도 발달하게 되었을 것이다. 삼국시대에 이르러서는 성인이 되면 남자는 대개 상투였으며‚ 여자는 얹은머리· 쪽찐머리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머리모양을 하였다. 따라서 정리한 머리가 풀어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비녀의 사용이 더욱 많아졌을 것이다. 부여에서 발견된 백제의 은비녀는 한 끝이 고리모양으로 구부러져 있어 당시 비녀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신라에서는 진골녀(眞骨?)는 장식비녀〔釵〕에 글씨나 그림을 새기거나〔鏤刻〕‚ 구슬을 다는〔綴?〕것을 금하였다. 육두품녀(六頭品?)는 순금 사용을 금하고 은에 누각하거나 철주하는 것을 금하였다. 오두품녀는 백은을 사용하게 하였고‚ 사두품녀에게도 누각·철주와 순금 사용을 금하였다. 그리고 평인녀(平人?)에게는 놋쇠〔鍮石〕를 사용하게 하였다는 내용이 ≪삼국사기≫ 신라 흥덕왕 복식금제에 나오고 있다. 이것으로 미루어보아 그 당시 비녀가 다양하게 발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부녀자의 머리모양은 고대 이후 고려시대까지 별다름이 없어 고려의 여인들도 머리에 작은 비녀를 꽂았다. 조선 중기에는 가체에 의한 얹은머리가 유행하였다. 얹은머리(둘러머리)는 본머리〔本髮〕와 다리를 합쳐 땋아서 위로 둥글게 둘러 얹은머리모양이다. 다리를 본체에 고정시키는 데 비녀가 사용되었다. 궁중 의식용인 큰머리〔巨頭味‚ 일명 떠구지머리〕·대수(?首)‚ 궁중 및 양반 집안의 예장용인 어여머리〔於由味〕등에도 비녀를 사용하여 가체를 고정시켰다. 얹은머리는 이에 소요되는 다리의 값이 너무 고가였고 장식을 위한 금옥주패(金??貝)의 사치가 날로 심해졌다. 또 그에 따른 폐단이 많게 되자‚ 영조·정조 때의 발제개혁(髮制改革)과 더불어 이에 대한 금령이 여러 차례 있었다. 순조 중엽에 와서는 얹은머리 대신 쪽찐머리가 일반화되면서 다양하게 발전되었다. 쪽머리는‚ 대개는 머리를 땋아 아래 뒤통수에서 둥글게 서리고 쪽이 풀어지지 않게 비녀를 꽂았다. 얹은머리의 가체에 치중하였던 사치가 점차 비녀로 옮겨지면서 그 종류가 다양해졌고 기교도 발달하여 당시의 공예미술을 대표하는 것의 하나가 되었다. 이 밖에 비녀는 관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비녀는 여인들의 생활필수품인 동시에 값비싼 패물의 하나였으므의 비녀를 가지고 있는 양반가의 여자들은 갖가지 비녀를 함에 넣어 소중히 보관하였다. 영조 때에 가체의 사치를 금하기 위하여 모든 부녀의 머리 모양을 쪽으로 하도록 쪽머리가 일반화되자 비녀의 사용이 일반화 되었고 비녀의 모양이 이때부터 다채로워졌다. 모양은 한쪽 끝이 뭉쳐져 빠지지 않게 되었으며 그 부분을 비녀머리라 부르는데‚ 비녀머리에 장식이 있는 비녀를 꾸민 잠‚ 별로 꾸밈이 없는 것을 민비녀라고 한다. 비녀의 종류는 재료에 따라 금(金)‚ 은(銀)‚ 백동(白銅)‚ 놋(鍮)‚ 진주(眞?)‚ 옥(?)‚ 영락(瓔?)‚ 비취(翡翠)‚ 산호(?瑚)‚ 나무‚ 대‚ 뿔‚ 뼈 비녀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 비녀머리 형태의 장식에 따라 용잠(龍簪)‚ 봉잠(鳳簪)‚ 원앙잠(鴛鴦簪)‚ 불두잠(佛頭簪)‚ 오두잠(烏頭簪)‚ 어두잠(魚頭簪)‚ 매죽잠(梅竹簪)‚ 죽잠(竹簪)‚ 화엽잠(花葉簪)‚ 가란잠(加蘭簪)‚ 목련잠(木蓮簪)‚ 모란잠(牡丹簪)‚ 석류잠(石榴簪)‚ 국화잠(菊花簪)‚ 초롱잠(草籠簪)‚ 호도잠(胡桃簪)‚ 두잠(豆簪)‚ 민잠(?簪)‚ 말뚝잠‚ 버섯잠 등 많은 형태가 있다. 크고 긴 것은 의식용으로‚ 작고 짧은 것은 평상시에 꽂았다. 이 비녀는 파란(琺瑯)이 선명한 대나무 잎 3개가 양쪽으로 각각 있으며‚ 위로 산호가 박힌 5화판(花瓣) 매화꽃이 살짝 얹혀져 있다. 매화꽃 바로 아래에 꽃받침 대신에 대나무 잎 2개가 있고‚ 잠두 끝부분에 역시 산호가 박혀있는 조형적 구성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은제이며‚ 변색된 곳이 많고‚ 녹색의 녹도 보인다. 잠두와 비녀대로 넘어오는 부분에 기하학적 문양이 음각되어 있다. 파란 비녀는 주로 가을에서 겨울 사이에 많이 사용되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민족생활어 사전(한길사‚ 1997) 담인복식미술관(이화여자대학교‚ 1999) 服飾類名品圖錄(고려대학교박물관‚ 1990) <유사용어> 잠(簪)·계(渠)·차(釵)‚ 법랑매죽잠(琺瑯梅竹簪)로 옛 사람들은 이를 소중히 간직했다. 비녀는 재료와 잠두의 수식(修飾)에 따라 예장 때와 평상시에 사용하는 것이 다르다. 또한 젊은 사람과 나이든 사람‚ 계절에 따라서도 그 사용을 달리하였다. 서민의 경우 나무나 쇠 또는 동물의 뿔 등으로 만든 소박한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렇지만 사대부나 왕족의 경우 때와 장소에 따라 알맞은 비녀를 착용해야 했기 때문에 훨씬 그 가짓수가 많고 재료나 형태도 고급스러웠다. 비녀는 장식물로서 뿐만 아니라 대를 물려 자손에게 물려주는 귀중한 가보로써 여겨졌다. 따라서 여러 개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