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투호노리개

추천0 조회수 150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투호노리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노리개는 저고리 고름이나 치마허리에 차는 부녀자들의 장신구이다. <역사> 노리개는 조선시대 여성의 장신구로서 전(前)시대에 많이 애용하던 목걸이나 귀걸이가 쇠퇴한 대신 가장 다양하게 발달한 장신구라 할 수 있다. 이것이 언제부터 패용(佩用)되었는지 확실히 알 수는 없으나 신라시대에는 요대(腰帶)에 갖가지 장신품‚ 즉 요패(腰佩)를 달았다. 고려시대에도 요패를 착용했는데 서긍의《고려도경(高麗圖經)》에 “고려의 귀족계급 부녀들은 허리띠에 금방울‚ 금향낭을 패용하였다.”고 한 것으로 알 수 있다. 그 후 고려후기를 지나 조선시대에는 저고리의 길이가 짧아지고 옷고름이 보편화되면서‚ 고름이나 치마에 차는 노리개로 전환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노리개는 크게 5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주체(主體)가 되는 패물(佩物)을 중심으로 띠돈‚ 다회(太繪:끈)‚ 매듭‚ 술로 구성된다. 이들 요소가 색상이나 형태‚ 크기 면에서 서로 조화를 이루면서 노리개라는 장식품의 전체적인 아름다움을 창출해낸다. 노리개는 궁중은 물론 상류사회에서 서민에 이르기까지 모든 여성이 아끼고 소중히 간직하였으며‚ 경사 시에는 물론 일상시에도 즐겨 패용하였다. 그리고 재료와 크기에 따라 패용하는 계절이나 위치‚ 사용법이 달랐는데‚ 금과 은 노리개는 주로 가을과 겨울에 사용하였고‚ 5월 단옷날부터는 옥노리개나 비취노리개 또는 옥장도와 같은 한개 짜리 단작노리개를 찼으며‚ 8월 보름이 되면 3개짜리 삼작노리개를 찼다고 한다. 이 밖에도 2개‚ 5개를 함께 패용하는 이작노리개와 오작노리개가 있다. 또한 다는 패물의 종류와 규모에 따라 예복용과 평복용으로 구분되며 패물의 종류‚ 형태‚ 술의 종류에 따라서도 다양하다. 노리개의 재료로는 금‚ 은‚ 동 등의 금속류와 백옥‚ 비취옥‚ 자마노‚ 홍옥‚ 금강석‚ 공작석 등의 옥석류 그리고 밀화‚ 산호‚ 호박 등의 보패류와 금은사‚ 주단‚ 색사 등이 사용된다. 형태에는 동자‚ 박쥐‚ 거북‚ 나비‚ 오리‚ 붕어‚ 매미‚ 자라‚ 해태 등의 동물과 가지‚ 고추‚ 포도송이‚ 천도‚ 석류 등의 식물형태 그리고 호로병‚ 주머니‚ 종‚ 표주박‚ 북‚ 투호 등의 생활주변에서 얻는 형태 등이 있다. 따라서 길상(吉祥)적인 문양을 보편적으로 택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다남(太男)‚ 부귀(富貴)‚ 복(福)‚ 장수(長壽) 등을 뜻하는 것을 주로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노리개는 하나의 장식품이기 이전에 그 시대의 사회적 여건 속에서 안정된 조화를 이루며 가정을 화목하게 이끌어 나가고자 하는 여성의 지혜와 소망이 담겨있다. 또한 노리개는 여러 가지 문양‚ 덕담의 문자를 새겨 장수와 복을 빌거거꾸로 있는 모양이 투각되어 있으며‚ 그 아래로 국화매듭이 있다. 짙은 옥색의 쌍봉술이 내려져있고‚ 쌍봉은 금색실로 둘러져 있다. 항아리 뚜껑부분이 움직이지만‚ 매듭에 걸려 벗겨지지 않는다. <참고문헌> 민족생활어 사전(한길사‚ 1997) 한국복식2천년(국립민속박물관‚ 199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신문화연구원) 담인복식미술관(이화여자대학교‚ 1999) 한국매듭(김주현‚ 한림출판사‚ 1980) 나 액을 피하는 것으로 어떤 염원을 위해 차기도 했고‚ 향갑‚ 향낭‚ 침낭‚ 장도 등과 같이 실용적인 면에서 차기도 했다. 이 투호노리개는 화살을 던지며 놀이를 하던 투호놀이의 항아리를 축소한 것이다. 끈목은 노란색으로 도래매듭을 지은 후 국화매듭을 만들었다. 그 다음에 은으로 만든 투호항아리 패물을 달았다. 투호항아리의 뜻은 항아리의 뚜껑을 덮어 액을 면하고 한 해를 편히 지내라는 의미가 있다. 항아리 몸체에는 칠보(七寶)와 나비 그리고 초화문(草花文)을 음각하였다. 항아리 목부분에는 앞뒤로 큰 꽃모양으로 장식한 후 그 중앙에 산호(또는 홍옥)과 같은 보석을 박았다. 굽부분은 나비가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