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족두리

추천0 조회수 5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족두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부녀자가 예복에 갖추어 쓰던 관(冠). <역사> 족두리라는 말은 고려 때 원나라에서 왕비에게 준 고고리(古古里)가 와전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족두리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원나라와의 혼인이 많았던 고려시대 후기로 볼 수 있다. 고려시대의 족두리는 조선시대의 것보다 모양이 크고 높이도 높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그 양식이 점차 작아지고 위와 아래가 거의 밋밋하게 비슷하여졌다. 광해군 때에는 현금(?錦)으로 거죽을 하고 자주색으로 안을 하였다. 그 이후로 국내의 부녀들이 즐겨 써서 거의 국속(國俗)이 되었으며‚ 특히 영조·정조 시대에는 가체(加軾)를 금하면서 족두리의 사용을 장려하였다. 1788년(정조 12)에는 머리를 틀어 쪽찌고 머리 위에 족두리를 쓰게 하였는데‚ 그 족두리를 만드는 데에는 면서(綿絮)나 양죽(凉竹)을 검은색으로 하고 칠보 등을 지나치게 쓰지 못하도록 금제령을 내렸다. 아울러 일반의 혼례 때에도 칠보족두리를 빌려 쓰지 못하게 금지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조선시대 궁중이나 사대부가의 여인들이 사용하던 관모의 일종으로 검은 비단으로 겉을 싸서 만들었으며 그 형태는 아래는 둥글고 위는 여섯모로 되어있는 모자로 위가 넓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좁다. 속에는 솜이 들어 있고 가운데는 비어 있다. 부녀자가 예복에 갖추어 쓰던 관(冠)으로 족두(選兜) 또는 족관(選冠)이라고도 한다. 부녀의 족두리 위에는 남편의 관직에 따라 금권자(金圈子)나 옥권자를 붙여서 등위를 표하였다. 족두리에는 장식이 없는 민족두리와 족두리 위에 옥판(?板)을 받치고 산호주(?瑚?)·밀화주(蜜花?)·진주 등을 꿰어 만든 꾸민족두리가 있다. 또‚ 솜족두리라 하여 어여머리를 꾸밀 때 쓰는 것도 있는데‚ 이것은 어염족두리라고도 한다. 이 밖에 상제(喪制)가 쓰는 흰색의 족두리가 있는데‚ 이는 장식을 하지 않고 납작한 모가 난 모자와 같은 양상이다. 족두를 만들자면 모단 다섯 치와 솜 한 냥 반이 든다. 족두리는 현재까지도 신부가 신식 혼례를 마친 뒤 폐백을 드릴 때 원삼과 같이 쓰고 있다. 이 유물은 장식이 없는 민족두리와는 달리 패물로 장식되어 있는 꾸민족두리이다. 주로 원삼‚ 활옷‚ 당의와 함께 사용하나 치마저고리에 사용하기도 하였다. 장식물은 모두(冒頭)의 한가운데에 초록색 화판(花板)에 투명‚ 홍색‚ 녹색 등의 구슬장식을 연결하고‚ 끝에 홍색의 꽃을 달아 놓았고‚ 6면에 각각 홍색‚ 주황색‚ 노란색‚ 분홍색 등의 원판 위에 용수철로 떨잠형식의 장식물이 솟도록 배치하여 새‚ 나비‚ 구슬장식 등으로 마무리 하였다. 또한 6개의 각진 부분에는 구슬로 두(選兜)‚ 족관(選冠)‚ 민족두리‚ 꾸민족두리‚ 솜족두리‚ 어염족두리이은 띠로 두른 후 모서리 끝에 큰 구슬을 달았다. 앞이마 부분에는 노란색 화판(花板)에 중앙에 홍색의 원판을 달고 그 위에 흰색의 불투명 구슬을 달았으며‚ 그 주변을 구슬 끈과 색실로 장식하여 마무리 하였다. 뒷면에는 붉은 색의 금속장식으로 마무리를 하였고‚ 주변은 역시 구슬장식을 달았다. 뒤쪽 아래에는 색이 바랜 청색 비단 끈을 달아놓았고‚ 내부에는 살굿빛 비단으로 속을 대었다. 구슬 끈이 끊어진 곳이 많아 주의해서 다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신문화연구원) 한국복식2천년‚ (국립민속박물관‚ 1995) 민족생활어 사전(한길사‚ 1997) <유사용어> 족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