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이층농

추천0 조회수 6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이층농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수납장의 한 종류. 장과 농(籠)은 개판(蓋板 : 맨 위에 댄 나무판)에 의하여 구별하는데‚ 장과 더불어 내실용 가구를 대표하며 2층으로 되어 있다. 이층장과는 외견상 형태가 같지만 장은 상하가 분리되지 않으며 농은 분리되므로 구별된다. <역사> 농은 고려시대로부터 사용되어 온 명칭으로 조선시대 후기에도 여행 또는 이동용으로 쓰였지만‚ 형태가 개량되어 안방세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러나 양 측널에 딸린 들쇠가 그대로 달려 있어 이동에 사용하였던 흔적을 남겨 주고 있다. 조선시대 후기에 쓰인『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 농에 관한 기록이 있다. 그 내용은 “농은 원래 죽기를 의미하는 것인데 목조·고리버들을 써서 사용하는 것도 역시 농이라 부르니 이는 이름을 빌려 쓰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목조는 옷칠을 하고 또 황동으로 장식을 한다. 고리버들로 만든 것은 안과 밖을 도배하고 황칠을 하고 철로 장식을 하는데 모두 여닫을 수 있고 자물쇠를 사용한다. 포백(布帛)‚ 의금(衣衾) 등을 간수하는데 사용한다. …중국에서 무역해 들여오는 피농은 주칠을 하고 그림을 그렸는데 생긴 형태와 제법이 우리나라의 목롱과 같으나 습기를 막는데 약간 더 효과적이다. 농의 뚜껑이 위에 있고 둘 또는 셋이 시렁 위에 겹쳐 있으면 여닫는데 불편하다. 만주인이 근래에 새로운 방법을 고안해 냈는데 전면에 두짝으로 된 작은 문을 해달아 여닫는데 불현이 없게 하였다.” 고하여 현존하는 목조(木造) 농의 상한연대(上限年代)가 조선후기임을 시사하고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의류 및 기타 기물(器物)을 보관하는 나무상자. 비(扮)·협(練)·광(堅) 등의 죽기(竹器)를 의미하였던 광주리에서 나온 말이다. 초기에는 뚜껑이 위에 있다가 점점 상자 앞면에 문을 달아 옷을 넣는 데 편리하게 하여 사용하다가 이를 포개어서 옷장으로 썼던 것 같다. 서유구(徐有梏)의 ≪임원경제지≫ 섬용지(贍用志) 권3에 “농은 원래 죽기를 의미하였던 것인데‚ 나무나 고리버들로써 만든 것을 농이라고 불렀다……”라고 농의 시원을 알려주고 있다. 원래 농에는 개판(蓋板 : 맨 위에 댄 나무판)이 없는 것이 장(欌)과 다른 점이지만‚ 후에는 농에도 개판 혹은 다리부분인 마대(馬臺)를 붙여 이를 ‘개판농’ 혹은 `마대농`이라고 불렀다. 또한 서민주택에서는 상자의 안팎에 종이를 바른 함롱(函籠)을 사용하였는데‚ 바닥에 놓고 썼기 때문에 그와 같이 불려졌다. 구조는 널과 널로 접합된 것이 대부분이며‚ 그 짜임새는 한쪽 널에 촉을 만들고 다른 쪽 널에 구멍을 뚫어 맞추는 촉짜임을 썼으며‚ 모서리는 각 이음새마다 고춧잎모양 혹은 농으로 모두 투각나비모양 앞바탕에 불로초화형 귀장식과 투각나비모양 경첩이 모두 거멍쇠 장석으로 되어있어 색의 화려함은 없으나 투각기법으로 통하여 여성스러움과 섬세함이 잘 나타나있다. 농의 귀잡이는 화형(花形)이고‚ 감잡이는 고춧잎모양에 투각을 하여 화려하다. 위층에는 원형고리를 달고 자물쇠가 부착되어 있으나‚ 아래층에는 자물쇠가 없다. 문판 아래에는 화형(花形)들쇠받침에 잎사귀모양을 연이어 투각장식한 장석이 부착되어 있고‚ 여기에 활형들쇠가 달려있다. 나무에 상처가 가지 않도록 화형장식과 기하학적 장식이 혼합된 받침을 대었다. 그 양 옆으로는 화형장식(국화장식으로 보임)과 새장식이 같이 있는 광두정을 좌우 대칭으로 장식하였다. 양쪽 측면에 들쇠가 없으며‚ 박쥐풍혈에 앙가족으로 족대가 보인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신문화연구원) 한국의 목가구(2002년‚ 서울역사박물관) 운현궁 생활유물(2003년‚ 서울역사박물관) 옛가구의 아름다움(1996년‚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유사용어> 농(籠)‚ 죽기(竹器)기타 감잡이(양쪽으로 걸쳐 박는 쇳조각) 주석장식을 달아 견고하게 하였다. 또 문판 아래와 양쪽 널에 큰 달형 무쇠들쇠가 하나씩 달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후기에는 장과 같이 앞면에 쇠시리장식을 하여 머름간 및 쥐벽간을 나누었고‚ 내부는 층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외형은 한 층으로 된 농도 만들어졌다. 농의 재료는 가볍고 좀이 안 스는 오동나무가 애용되었으며‚ 안방용인만큼 나뭇결이 아름다운 먹감나무·느티나무를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나전(螺鈿)이라든가 지롱(紙籠 : 초화문양을 그려 기름을 바른 것)·죽장롱(竹欌籠) 등도 애용되었다. 이 유물은 위아래가 동일한 크기로 된 2개의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