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경상

추천0 조회수 4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경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경전이나 책을 얹어놓고 읽는 데 쓰였던 책상. <역사> 중국 당나라·송나라 시대의 제탁(祭卓)양식에서 영향을 받아 독특한 모양을 가지고 있다. 불교가 융성하였던 고려시대에는 사찰의 필수품으로서 사용된 듯하며‚ 형태가 아름다워서 의해 불교의 강력한 후원자였던 왕실과 귀족계층에서도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경향은 조선시대에도 이어져 부유한 양반계층의 사랑방에서 사용되었으나‚ 고고(孤高)한 사대부선비들은 검소함을 미덕으로 여기어 과다한 장식이 곁들인 경상을 기피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상판(床板)의 양쪽은 두루마리 경전이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두루마리형으로 말려 올라와 있고‚ 몸체에는 한두 개의 서랍이 달려 있고‚ 흔히 앞뒤로 안상문(眼象紋)이나 여의두문(?意頭文)이 오목새김 되어 있다. 오래된 것일수록 검정무쇠의 둥근 고리가 달려 있고 근래에 가까울수록 달개지형 주석 장식을 쓰고 있다. 의자생활을 하는 중국 경상의 높이는 높고 둔탁한 느낌을 주는 데 비하여‚ 조선조 경상의 형태는 좌식생활에서 오는 조형감각에 맞게 높이가 낮고 소형이며‚ 말린 두루마리의 모습도 중국 것에 비하여 매우 경쾌하고 날렵한 모양을 하고 있다. 경상의 변형으로 두루마리 상판(床板)에 곧은 다리를 가진 서안(書案) 형태도 있다. 대개 서랍이 하나씩 달려 있고 족판(足板) 너비가 상판 너비보다 좁은 것이 기본형이다. 구조의 특징으로 상판 양쪽이 날렵하게 들린 형태를 들 수 있는데‚ 두 가지 방법으로 제작된다. 하나는 따로 재단된 두루마리 부분을 상판에서 낸 혀에 붙이는 방법과‚ 다른 하나는 상판에 홈을 파서 이어 맞추는 방법이다. 재료는 소나무·죽장(竹粧)·오동나무·피나무가 쓰이지만 무늬가 아름답고 결이 고운 괴목(槐木)이 제일 좋다. 이 밖에 가문비나무·산유자나무가 단단하고 색이 좋아 많이 사용되었다. 이 유물은 전형적인 경상(經床)의 양식을 가지고 있으며 경상의 하단은 서랍이 있고‚ 그 위로 4개의 머름간이 1층으로 보이며‚ 그 위에 여닫이문이 달려있다. 문판 양옆으로 1층의 쥐벽간이 있고‚ 그 위엔 또 다시 4개의 머름간이 1층 있다. 문판을 보면‚ 화형(花形) 양각 배꼽장식에 자물쇠가 걸려있고‚ 약과형 경첩과 귀장식‚ 귀잡이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보인다. 왼쪽에 보이는 경첩은 붉은 녹이 보인다. 문을 열면‚ 쇠장식을 박아 문받이 역할을 하는 것이 보인다. 앞면의 쇠목부분에 새발감잡이를 부착하였고‚ 상판과 몸체의 연결 부위에 있는 풍혈은 나비와 초문(草文)을 혼합한 모양으로 추측되며‚ 다리와 족대는 장식이 없는 일자형(一字形)이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정신문화연구원) 한국의 목가구(2002년‚ 서울역사박물관) 운현궁 생활유물(2003년‚ 서울역사박물관) 옛가구의 아름다움(1996년‚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유사용어> 경상(經床)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