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화백자산수문수반

추천0 조회수 57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화백자산수문수반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꽃을 꽂거나 수석(壽石) 따위를 올려놓는 데 쓰이는‚ 바닥이 편평하고 운두가 낮은 그릇. <발달과정/역사> 전기의 상품백자는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번천리‚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오전리‚ 퇴촌면 도마리‚ 퇴촌면 우산리‚ 퇴촌면 관음리‚퇴촌면 도장골‚ 퇴촌면 정지리‚ 초월면 무갑리 등지에서 번조되었다. 상품백자는 물론 갑에 넣고 번조하여 티 하나 없는 청정한 것이다. 유약은 거의 빙렬이 없고 다소 푸름을 머금었으며 약간 두껍게 입혀졌다. 광택은 은은하고‚ 잘 번조된 것은 유약에 기포가 적절히 포함되었으며‚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있어 표면이 부드럽다. 태토는 순백이며 유약과 태토가 밀착되어 떨어져나간 예가 없으며 가는 모래받침으로 번조하였다. 마치 함박눈이 펑펑 쏟아지고 난 뒤에 맑게 갠 하늘 아래서 소복이 쌓인 푹신한 눈을 보는 것 같다. 중품은 태토에 약간의 철분이 함유되어 태토색이 담회색이며‚ 유약에도 미량의 철분이 들어 있기 때문에 담청색을 머금어 표면색이 담담한 회청색이다. 유약은 미세한 빙렬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가는 모래받침으로 번조하였다. 하품의 태토는 순백이고 유약에는 미량의 철분이 함유되어 있어 약간의 푸름을 머금고 있다. 중기의 백자는 17세기 말‚ 18세기 초에 그 특징이 나타나서 18세기 중엽까지 그 모습이 이어진다. 후반부터 중앙관요의 백자는 상품 위주로 번조하였다고 생각된다. 중기 백자는 유약에 아주 미량의 철분이 들어 있어 전기의 백자보다 더 담담한 푸름이 깃들여 있고 태토도 순백이다. 후기(1752∼조선조말) 1883년 이후 광주관요의 형태는 도서원이 운영하고 경시인이 판매하는 민영화시기로 이행되며‚ 19세기 말부터 일본 규슈(九州)지방의 값싼 기계생산품이 홍수같이 밀려 들어와 우리나라 자기산업은 황폐일로를 걷다가 단절되고 만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수반은 바닥이 평평하고 높이가 비교적 낮은 그릇으로 물을 담아 꽃이나 괴석 등을 넣어 두고 관상하려는 용도로 만들어졌다. 주로 사기(砂器)나 금속으로 제작되었다. 둥근 형태가 일반적이나 드물게는 장방형 수반도 보인다. <참고문헌> 한국도자사(강경숙‚ 일지사‚ 1989) 한국의 도자기(정양모‚ 문예출판사‚ 1991) 한국도자사연구(윤용이‚ 문예출판사‚ 1993)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