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화백자격자문소연적

추천0 조회수 8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화백자격자문소연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적절한 양의 물을 먹과 채색을 개는데 물을 부어 주는 도구. <발달과정/역사> 벼루를 사용하기 시작한 시기와 같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고구려 때 사용하던 陶製(도제) 거북연적이 남아 있다. 고려시대에는 지식인 사이의 문방취미가 보급되면서 아름다운 청자연적이 많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현재 전하는 청자연적에는 童子모양.道釋人物.원숭이. 원숭이 母子形. 오리모양의 연적이 남아 있다. 특히 오리모양연적(국보제74호)은 그 제작수법이 섬세하고 뛰어난 색깔로 걸작품이다. 조선시대에는 더욱 수요가 많아짐에 따라 연적 역시 그 형태에 있어 다양해 졌다. 전기에는 분청으로 만들기도 하였으나 지금 전하는 대부분의 연적은 백자연적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연적에는 두개의 구멍을 내어 공기를 조절함으로써 연적 안에 물을 담아 두었다가 필요할 때 원하는 만큼의 물을 따라 쓸 수 있도록 하였다. 지금 전하는 대부분의 연적은 백자연적으로 원형.또아리형‚ 4각‚ 6각‚ 7각‚ 8각 등 다각형의 것과 보주형‚ 복숭아‚ 감‚ 부채‚ 집모양 및 동식물‚ 조충류‚ 산형(山形)‚ 악기형(樂器形) 등을 본뜬 상형연적이 많고‚ 후기에 와서는 투각 등의 기법이 가미되어 형태가 더욱 다양하게 되었다. 조선시대 순백의 연적은 유교를 숭상하던 선비정신을 그대로 잘 나타내주며‚ 또 산수화가 그려진 연적은 후기에 한강변의 분원에서 구워낸 것으로 작은 연적에 산수를 그려 넣어 호연한 세계를 보려한 조선선비들의 아취와 문기를 엿보게 한다. 연적은 청자나 백자로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며‚ 놋쇠로 만들어진 것도 있다. 조선시대에는 자기로 만든 것이 많이 전해내려오고 있으나 대나무‚ 은‚ 동‚ 두석으로 만든 것도 있다. 표면에 각종 무늬를 넣어 완상(?賞)하게 하였다. 그 형태는 거북이. 원숭이. 오리. 산의모형. 복숭아. 동자상(童子像). 사각. 부채. 육각. 보주. 두꺼비. 해태. 물고기. 화형‚ 무릎형. 환형 등에 산수(山水). 꽃. 동물. 곤충을 그려넣기도 하여 운치를 더하기도 하였다. 무늬와 그림이 없는 순수 백자도 있으나 청화백자 또는 청화에 동화를 곁들여 아름답게 장식한 것이 많다. 그러므로 연적은 문방에서 실용으로 쓰이면서 완상품의 구실도 했다. <참고문헌> 삼성미술문화재단‚ 『조선백자전』Ⅱ‚ 1985 정양모‚ 『한국의 도자기』‚ 문예출판사‚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김재열‚ 『백자Ⅰ‚ 분청사기』‚ 예경‚ 2000 방병선‚ 『조선후기 백자연구』‚ 일지사‚ 2000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