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화백자화접문병

추천0 조회수 2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화백자화접문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액체를 담는 용도로 사용된 백자토로 만들어진 병(甁). <발달과정/역사> 백자란 순백색의 태토(胎土) 위에 투명한 유약(釉藥)을 씌워서 구워낸 자기로‚ 조선시대 자기의 주류를 이룬다. 백자의 표면색은 우유빛과 같은 유백색(乳白色)‚ 겨울눈과 같은 설백색(雪白色)‚ 약간 푸른기가 도는 청백색(靑白色) 등 다양한데‚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보통 15세기 백자가 유백색 계통이며‚ 16세기가 되면 설백색‚ 17세기에는 회백색‚ 18-19세기에는 푸른 기가 약간 도는 청백색으로 볼 수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병은 항아리 형태에서 어깨를 발달시켜 구연부의 크기를 작게 하고 목의 길이를 길게 만든 기형으로‚ 술을 담는 주병(酒甁)‚ 식용유의 용기로 사용하는 유병(油甁)‚ 식초를 담는데 사용되는 초병(醋甁)‚ 입이 좁고 어깨부분이 크며 밑이 홀쭉하게 생긴 매병(梅甁)‚ 구연부가 밖으로 벌어진 원형병(圓形甁)‚ 술을 가져 다닐 수 있는 운반용 병인 편병(扁甁)등 여러 종류가 있다. 주병의 형태는 밑이 둥글고 넓어서 술을 담았을 때 안정감이 있으며 손으로 병(甁)을 감아쥐기 편하도록 목이 길게 되어있고‚ 다시 전이 약간 쳐져서 술이 잘 따라지도록 만들었다. <참고문헌> 삼성미술문화재단‚ 『조선백자전』Ⅱ‚ 1985 정양모‚ 『한국의 도자기』‚ 문예출판사‚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김재열‚ 『백자Ⅰ‚ 분청사기』‚ 예경‚ 2000 방병선‚ 『조선후기 백자연구』‚ 일지사‚ 2000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