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식금구

추천0 조회수 1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식금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말갖춤 등을 연결하는 삼계 중 혁대가 교차되지 않는 부분을 연결하는 말띠꾸미개의 일종. <발달과정/역사> 다양한 말갖춤을 연결하는 삼계 중 혁대가 교차되지 않는 곳에 박은 금구와 신라 등에서 많이 출토되는 입주부말띠꾸미개와 같은 것을 모두 식금구라고 부르고 있다. 즉 이러한 식금구와 같은 용어 주로 일본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서 일본에서는 말띠가 교차되는 지점에 장치된 5각 이상의 것을 한정하여 운주라고 하고‚ 그밖에 4각이나 3각을 가지면 십금구라고 부르고 있으나 한국에서는 이와 같은 모든 것을 말띠꾸미개로서 총괄하여 부르고 있다. 이러한 말띠꾸미개는 삼한시대에는 주로 환형이나 8자형의 청동금구가 그 기능을 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삼국시대에 들어서면서 말띠꾸미개는 크게 보아 환형‚ 판형‚ 반구형의 세 종류가 있으며 이밖에 반구형의 정부에 입주를 세워 영락을 매단 입주부말띠꾸미개와 반구형의 정부에 입주를 세우지 않고 원두정을 박은 무각소반구형의 말띠꾸미개 등 5종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심엽형금구(心葉形金具) 위에 둥근 고리가 붙은 것으로서 1점을 제외하면 심하게 파손되었다. 금구와 고리 모두 금동제품으로서 심엽형금구에는 거꾸로 시문된 귀면문이 들어있다. 테두리에는 5개의 작은 금동못을 박았다. 고리 역시 심엽형이며 연결 고리는 원형이다. 금구와 고리의 연결은 금구의 상단을 긴 네모 모양으로 만들어서 둥글게 감고 여기에 연결 고리를 끼웠다. 안쪽면에는 가늘게 짠 삼베가 수착되어 있기 때문에 본 금구는 삼베로 된 어떤 유물에 고정시켰던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경상대학교박물관‚ "합천옥전고분군Ⅲ"‚ 199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