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발형기대

추천0 조회수 2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발형기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굽다리접시를 크게 확대한 모양의 그릇받침. <발달과정/역사> 기대는 밑이 둥근 항아리가 토기의 중요한 종류로 만들어지는 원삼국시대 초기부터 제작이 성행했을 가능성이 크나 실물로 확인되는 것은 드물다. 원삼국시대 말기‚ 단단한 경질토기가 발생하는 무렵부터는 납작토기가 주로 사용된 고구려지역을 제외한 백제‚ 신라‚ 가야 지역에서 다양한 종류의 기대들이 제작되기 시작한다. 기대는 요즘의 화로와 비슷한 모양의 화형기대‚ 굽다리접시를 크게 확대한 모양의 발형기대‚ 긴 원통을 세워둔 모양의 통형기대‚ 둥근 고리 모양의 환형기대로 나누어지며‚ 통형기대는 대형‚ 중형‚ 소형으로 구분된다. 발형기대는 노형기대보다는 약간 늦게 이를 이어 받아 제작되기 시작하여 삼국시대 전 기간 동안 백제‚ 신라‚ 가야영역에서 유행한 종류이다. 지역에 따라 형태가 다르며‚ 시기에 따라서도 변화하여 5세기 이후에는 지역마다의 정형화된 양식을 갖게 된다. 백제의 것은 수부에 비해서 다리의 상부가 좁고 긴 특징이 있고 신라의 것은 깊은 수부를 가진 것이 지속되나 가야의 것은 수부의 깊이가 얕아지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그릇을 담는 부분이 얕고 직선적이며 아가리는 가볍게 바깥으로 향해 있으나 짧게 수평면을 이루었고 끝 단은 오목하게 처리하였다. 침선에 의해 4-5단으로 구분하였고 2‚ 3‚ 5단에는 파상문(波狀文)이 정교하게 베풀어졌고‚ 4단에는 낙엽문(落葉文)과 파상문이 베풀어져 있다. 굽다리는 길게 바깥으로 바라졌으며 양 끝단이 강조되어 오목하게 생겼다. 굽다리는 침선에 의해 5단으로 구분되며 각 단에 4개씩의 삼각형의 굽구멍이 서로 엇갈리게 뚫려 있다. <참고문헌> 경상대학교박물관‚ "합천옥전고분군Ⅱ"‚ 1990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