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중벼루

추천0 조회수 1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중벼루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먹을 가는데 사용하는 문방구. <발달과정 및 역사> 먹과 마찬가지로 벼루도 중국에서 처음으로 발명되어 사용되었다.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벼루는 가야 및 삼국시대의 도연(陶硯)이며‚ 통일신라 때는 연지(硯池) 외벽과 발에 조각이 된 벼루도 나타났다. 그런데 대체로 석연이 일반화된 것은 고려시대 이후라고 생각되는데‚ 현재 발굴되는 고려시대 무덤에서는 부장품으로 석제벼루가 많이 출토되고 있다. 글을 숭상하는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더욱 수요가 많아짐에 따라 벼루 역시 형태도 다양해지고 수요도 많아지게 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벼루는 보통 돌로 만들지만 와연(瓦硯)·도연(陶硯)·자연(磁硯)·이연(泥硯)도 있으며‚ 보석류나 금석류로도 만든다. 크기는 서당연처럼 큰 것에서부터 손가락만한 행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형태 또한 원형·4각형·6각형·8각형·타원형에서부터 여러 가지 물형(物形)을 본딴 구연(龜硯)·연화연·풍자연(風字硯)등 다양하다. 이 벼루는 평면형태는 타원형 계통이나 외곽선을 연 꽃잎 모양으로 볼륨감 있게 다듬은 뒤 상단에는 연 잎 줄기와 연 꽃잎 등을 양각하였고‚ 아래쪽은 자연스럽게 선으로 연결하였다. 특히 맨 위에는 연 잎 줄기를 표현하는 과정에서 약간의 투공이 형성될 정도로 돋을새김을 뚜렷하게 표현한 벼루이다. 전체적인 보존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나 연 꽃잎을 양각한 끝부분이 일부 떨어져 나가 아쉬움이 남는다. 뒤집어서 보면 옆면에 희미한 테두리 자국이 보이는데 이는 아마도 나무로 만든 벼루 집 받침에 눌린 자국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8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박물관도록>>‚ 대전대학교박물관‚ 2000. <<빛깔 있는 책들-벼루>>‚ 대원사‚ 1989.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