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중묵

추천0 조회수 3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중묵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벼루에 물을 붓고 갈아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데 쓰는 것. <발달과정 및 역사> 먹의 시원은 분명하지 않으나 후한(後漢)의 서도가인 위탄(韋誕)이 발명했다고 하며‚ 은대(殷代)의 갑골가운데 검거나 붉은 액체를 사용한 것이 출토되어 BC 2500년 이전에는 먹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 기록상으로도 위탄 이전의 책에서도 먹에 관한 기록이 발견되는데 이 때 사용한 먹은 석묵(石墨)이었을 것으로 짐작되며 지금과 같이 탄소의 분말을 이용하여 만든 것은 한대 이후 부터로 보인다. 중국의 먹‚ 특히 명·청대의 먹은 그 품질 면에서는 이미 최고의 수준에 있고‚ 가치는 금·은이나 옥보다 존귀하게 여겨졌다. 우리 나라에서는 고구려시대에 송연묵을 당나라에 세공으로 바쳤다는 기록이 ≪철경록≫에 나타나고 있어 먹이 성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송연묵(숫먹·개먹)으로는 양덕(陽德)산이 유명하고‚ 유연묵(참먹)은 해주의 것이 유명하다. 그리고 한림풍월(翰林風月)을 비롯하여 초룡주장(草龍?張)·부용당(芙蓉堂)·수양매월(首陽梅月) 등이 상품(上品)에 속한다. 대개 목판 인쇄에는 송연묵을 썼으며‚ 금속 활자 인쇄와 서예에는 주로 유연묵을 사용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직사각형의 먹으로 검은색계통이나 표면에는 하얀색이 덮여 있다. 앞면을 보면 사면의 모서리에서 안으로 내려가는 단이 있으며 그 단 아래에 산수화를 표현하였다. 산수화의 내용을 보면 언덕 위에 한 그루의 소나무가 있고‚ 그 아래에는 학이 한 마리 보이며‚ 소나무 위에는 해 또는 달로 보이는 것이 구름가운데 있다. 색상은 밤색‚ 녹색‚ 파란색‚ 흰색 등을 이용하였으나 색감이 약간 촌스럽다. 뒷면에는 가운데를 중심으로 원형의 볼록한 면에 금색으로 음각한 네 개의 글자가 있다. 보존상태는 아래쪽 모서리면이 조금 떨어져 나가고 주위에 가는 금이 보이는 상태이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8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박물관도록>>‚ 대전대학교박물관‚ 2000 <<중국명묵>>‚ 숙명여자대학교박물관‚ 1996.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