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흑유호

추천0 조회수 1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흑유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배가 부르고 목이 짧은 항아리. <발달과정/역사> 흑유자기란 말 그대로 흑색의 도자기를 일컫는 것으로 고려시대의 흑유에서부터 조선왕조에 이르기까지 도공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유약은 다량의 철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구운 후 표면의 색이 흑갈색‚ 또는 암갈색을 띠는 것이다. 긴 세월에 걸쳐 제작되어 왔지만‚ 그 수는 적고‚ 초기의 백자나 분청사기가 출토된 곳에서 흑유가 발견된 경우가 많았다. 흑유는 태토나 유약에 신화 제2철을 첨가해 산화소성 또는 환원 소성한 것으로 흑‚ 갈색‚ 감색 등의 여러 가지 색을 보이고‚ 흑유 표면의 결정 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 이름이 붙여졌다. 그 외에 지명(地名)‚ 문양 등에 따라 명명(命名)된 경우도 있었다. 조선시대에서는 각지에서 흑유 도기가 만들어지고‚ 계룡산 일대에서는 절에서 사용했었던 흑유다완이 발견되었고‚ 또‚ 제주도 에서도 흑유의 편호(扁壺)가 발견되었다. 전라도 지방에서는 석회석을 사용한 검은 엿 색깔의 병이나 호 등의 파편들도 발견 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전체적인 그릇의 형태는 계란의 아래와 위를 잘라낸 모양을 하고 있는 흑유항아리이다. 바닥과 구연부가 거의 비슷한 크기로 바닥은 넓은 평저이며 여기서 길게 올라간 몸체는 중간부분에 동체최대지름이 위치하나 구경이나 저경과 별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이다. 목은 매우 넓고 낮게 형성되었으며‚ 구연부는 거의 수평에 가깝게 짧게 외반하였다. 구연부의 상단도 수평과 비슷하며‚ 바깥쪽에 한 줄의 음각선을 돌렸다. 바닥에는 내화토로 사용된 굵은 모래들이 많이 붙어 있으며‚ 구연부의 상단은 색이 흑색이 아니라 밤색에 가깝다. 몸체의 일부와 구연부가 파손된 것을 수리한 상태로 유물의 잔존상태는 불량한 편이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8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박물관도록>>‚ 대전대학교박물관‚ 2000 <<숭실대학교박물관도록>>‚ 숭실대학교박물관‚ 200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