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분청사기인화문대접

추천0 조회수 1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분청사기인화문대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회색 또는 회흑색 태토(胎土) 위에 백토니(白土泥)를 분장한 다음 유약을 입혀서 구워낸 자기. <발달과정/역사> 14세기 후반부터 제작되기 시작하여 세종연간(1419∼1450)을 전후하여 그릇의 질이나 형태 및 무늬의 종류‚ 무늬를 넣는 기법[施文技法] 등이 크게 발전·세련되어 그 절정을 이루게 됨으로써 조선 도자공예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보이게 된다. 그러나 15세기 후반부터 경기도 광주 일대에 백자를 생산하는 관요(官窯)가 운영되면서 왕실과 관아에서 필요로 하는 자기의 공급은 광주분원(廣州分院)에서 맡게 되자 관장제수공업체(官匠制手工業體)로서 국가의 보호를 받지 못하게 된 분청사기의 생산은 점점 소규모화되면서 민간용을 주로 생산하게 되었다. 더욱이 중앙관요의 영향이 지방으로 파급되면서 백자의 생산이 계속 증가되었으며‚ 16세기 중엽 이후에는 분청사기의 생산이 급격히 줄어들었고‚ 임진왜란 이후에는 백자만이 남아 조선시대 도자기의 주류가 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그릇의 외면은 구연부 아래와 굽 위쪽에 4-5줄의 백상감횡선문을 돌려 구획한 뒤 그 안에 우점문을 가득 차게 시문하였다. 그릇의 내면은 구연부 아래에 2-3줄의 백상감횡선문을 돌린 뒤 그 아래에 연주문을 2단으로 장식하였다. 바닥부분은 기벽과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는 상태라서 문양의 차별화를 통해 구분을 짓고 있다. 즉 내부 바닥의 중앙에는 커다란 국화문을 하나 찍어 눌러 가운데가 들어가도록 한 뒤 주변을 연주문으로 장식하고 끝에 나비 또는 꽃 문양으로 추정되는 문양을 배치한 뒤 두 줄의 음각횡선문을 돌려 기벽과 구분하였다. 전체적으로 그릇의 내‚ 외면에 문양이 가득 찬 상태로 기형이 약간 찌그러진 상태이며‚ 구연부의 일부가 깨어져 나갔다. 내부 바닥면과 구연부의 일부에 이물질이 붙어 있으며‚ 유약이 고르게 묻지 않은 상태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8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박물관도록>>‚ 대전대학교박물관‚ 2000 <<숭실대학교박물관도록>>‚숭실대학교박물관‚ 200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