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백자접시

추천0 조회수 1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백자접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고령토로 그릇을 만든 후 투명한 잿물을 씌워서 1300℃의 높은 온도에서 구워낸 순백의 투명한 자기로 만든 접시. <발달과정/ 역사> 백자는 고려시대에 이미 만들어지기 시작하였으나 유교사상을 중요시한 조선시대에 이르러 널리 사용됨으로써 분청사기와 더불어 조선을 대표하는 유물이 된다. 그러나 세조 때는 백자에 대한 금지령을 내려 일반인의 백자 사용을 금지하기도 하였다. 이후 광해군 8년(1616)부터는 일반 사대부에 한정하여 허용하였다. 그러나 백자에 대한 요구는 대단히 높아서 암암리에 널리 사용되고 있었으며‚ 18·19세기를 지나는 동안 더욱 고급화되면서 생산량도 증가하여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유색이 순백색에 가까운 넓은 접시로 낮고 넓은 굽에서 삿갓형으로 넓게 퍼져 올라간 몸체는 끝에서 살짝 안으로 오므라들어 구연부를 이룬다. 그릇의 외면에는 특별한 문양이 없는 상태이며‚ 대신 물레질에 의한 성형흔적이 약하게 남아 있다. 내면에는 외면과는 달리 물레흔적이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바닥 가운데에 한 줄의 음각횡선문을 돌려 주위와 구분을 지었다. 여기에는 다른것 보다는 많은 9개의 규석 받침 흔적이 남아 있다. 그런데 하얀색의 접시 바닥면에 커다란 규석 받침 흔적이 너무 강하게 남아 있어 아쉬움이 든다. 굽바닥에도 위와 비슷한 크기의 규석 받침 흔적이 9개 보인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8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박물관도록>>‚ 대전대학교박물관‚ 2000 <<숭실대학교박물관도록>>‚숭실대학교박물관‚ 200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