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동향로

추천0 조회수 1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동향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향을 사르는 데 사용하는 분향기구(焚香器具). <발달과정/역사> 향로는 크게 일반적인 향로와 불교적인 향로로 구분되는데‚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는 일반적인 향로와는 달리 불교적인 향로는 불보살(佛普薩)에게 향을 공양할 때 사용되는 도구이다. 현재 유적지에서 조사된 향로는 백제대향로와 같이 삼국시대의 예와 통일신라시대의 예가 한두 점 보일 뿐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상태다. 금속공예의 발달과 함께 고려시대에 접어들면서부터는 조선시대까지의 향로의 기본형태를 이루고 있는 청동제고배형(靑銅製高杯形) 향로가 출현하게 되는데‚ 넓은 테두리가 둘러져 있는 밥그릇(鉢) 모양의 몸체와 위는 좁고 아래는 넉넉한 나팔모양 대(臺)로 구성되어 있다. 향로는 만드는 재료에 따라 크게 토제‚ 도제(陶製)‚ 금속제‚ 석제‚ 목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삼국 이후 통일신라시대까지는 주로 토제향로가 성행하였으며‚ 고려시대에는 청자와 청동제 향로가 많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유교가 득세하였던 조선시대에는 불교적 향로보다는 일반 제기로서의 백자와 유제(鍮製) 향로가 널리 애용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소형의 장식용 향로로 뚜껑이 덮여 있는 유물이다. 전체적인 형태는 직사각형으로 네 개의 원통형 다리에는 도철문이 표현되었다. 몸체에는 가운데에 두 줄의 횡선문대를 돌린 뒤 그 안에 작은 점으로 연주문을 표현하여 위아래를 구분한 뒤 아래에는 연주문형식의 굵은 점을 凹자 모양으로 배치한 뒤 빈 공간에 나무가지문 같은 것을 여섯 개 표현하였다. 그 위에는 초문과 S자문 등을 돌렸다. 목 부분도 안으로 살짝 들어감으로써 간략하게 표현하였다. 각면과 면의 경계 상단부에는 사각형의 작은 돌출물을 배치하였다. 직사각형의 단축의 중심에 네모난 고리를 만들었다. 몸체 바닥의 중앙에는 여섯 개의 작은 점이 보인다. 뚜껑은 납작한 형태로 가운데에 보주형의 작은 손잡이를 배치하였다. 그 주위에는 여덟 개의 직사각형 투공을 뚫었으며‚ 나머지 공간에는 초문으로 추정되는 문양을 배치하였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8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박물관도록>>‚ 대전대학교박물관‚ 2000 <<숭실대학교박물관도록>>‚ 숭실대학교박물관‚ 200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