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동젓가락

추천0 조회수 5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동젓가락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반찬이나 떡 등을 집기 위한 식생활 도구. <발달과정/역사> 젓가락은 우리나라에서는 공주 무령왕릉(武寧?陵)에서 숟가락과 같이 발견된 것이 가장 오래된 것이다. 중국에서는 춘추전국시대에 이르러서야 젓가락 기록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숟가락에 비하여 늦게 발달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 젓가락은 식사할 때에 쓰이는 용구로‚ 주로 반찬을 집어 먹기 위한 용도로 쓰이며‚ 숟가락과 한 벌을 이룬다. 이 한 벌을 가리켜 수저라고 부르는데 수저는 상고시대에는 주로 청동제품이었다. 이어서 놋쇠제품‚ 백통(白銅)제품‚ 은제품‚ 금제품 등 다양하게 변천되었다. 우리 나라에서 수저를 병용한 것은 삼국시대였다. 중국과 일본에서도 시기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수저를 병용하였다. 그러다가 중국과 일본에서는 점차 숟가락의 이용이 줄어들고 젓가락이 주를 이루게 되었다. 반면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병용하는 관습은 우리 나라의 독특한 관습으로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이는 우리 일상식의 내용이 국물음식과 국물이 없는 음식을 항상 병용하게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전체적인 형태는 손잡이쪽에서 집게 부분인 아래로 내려가면서 가늘어지는 형식으로 전체길이의 1/4 지점부터 끝까지를 대나무 마디모양으로 다듬어 장식하였다. 맨 뒤의 끝은 반원형으로 못의 대가리처럼 마무리 하였다. 젓가락의 크기는 두 개가 거의 비슷한 크기로 차이가 없는 상태이다. 젓가락의 단면은 원형으로 현재 녹이 많이 붙어 있어 상태는 불량한 편이다. <참고문헌> <<한국고고학개정용어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8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박물관도록>>‚ 대전대학교박물관‚ 2000 <<숭실대학교박물관도록>>‚ 숭실대학교박물관‚ 2004 <<한국식품문화사>>‚ 이성우‚ 198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