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명문백자

추천0 조회수 5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명문백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백토로 만든 형태 위에 장석질(長石質)의 잿물을 입혀 번조(燔造)한 순백의 반투명질 자기. <발달과정/역사> 백자는 백토로 만든 형태 위에 장석질의 잿물을 입혀 번조하여 자화된 치밀질 순백의 반투명질 자기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 말경부터 자기를 만든것으로 연구되고 있고‚ 고려시대에는 소량의 백자가 생산되었으며‚ 조선시대는 백자의 생산이 꽃을 피운게 되는 시기라 말할 수 있다. 조선 백자는 명(明)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였으며 성리학(?理學)의 유교사회(儒敎社會)의 분위기를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백자의 표면색은 어느 지방의 백토인가에 따라 좌우되며 유약(釉藥)‚ 소성(燒成) 분위기 등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15세기 백자는 유백색이며‚ 16세기 백자는 설백색‚ 17세기에는 회백색‚ 18세기에서 19세기에는 푸른기가 도는 청백색계통이라 할 수있다. 백자의 종류에는 순백자(純白磁)‚ 백자상감(白磁象嵌)‚ 백자청화(白磁靑畵)‚ 백자철화(白磁鐵畵)‚ 백자진사(白磁辰砂) 등이 있다. 14세기-17세기 중엽의 백자는 원만하고 유연한 기형이 주를 이루며‚ 상품의 백자는 갑발(匣鉢)에 넣고 번조되어 티하나 없이 깨끗하다. 유약은 거의 빙렬(氷裂)이 없고 약간의 푸른기를 머금고 있다. 17세기 중엽-18세기 중엽의 백자는 유약에 아주 미량의 철분이 들어 있어 전 시기보다 더 담담한 푸른기가 돌며 태토는 순백이다. 빙렬이 있는 경우가 많고 재티가 녹아 담청‚ 담녹의 작은 요점(凹占)이 있는 것도 있다. 이 시기부터 간결하고 굽이 높은 백자제기(白磁 祭器)가 생산되었으며 문방구(文房具)의 다양한 종류의 생산이 주목할만 하다. 18세기 중엽에서 조선 말기까지의 백자는 태토가 순백이며 문방구를 제외한 다른 그릇들은 기벽(器壁)이 두꺼워지고 유약도 두꺼워진다. 유약은 전 시기에 비해 더 푸른 빛이다. 유약에는 빙렬이 없고 기포가 많으며 태토와 밀착되어 유약이 떨어지는 경우가 거의 없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여기에 소개하는 유물은 명문백자(銘文白磁)로‚ 묵서(墨書)로 굽 안 바닥에 글자가 쓰여 있는데 초서(草書)라서 읽기가 힘들다. 외면의 유약(釉藥)이 시유(施釉)되지 않은 벽면에 ‘?(밥통 두)’가 쓰여 있다. ‘?’ 자를 관찰한 결과 글자는 제작당시에 쓴 것이다. 굽바닥과 내저면에서 흰색의 내화토 받침이 3개씩 확인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