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덧띠무늬병

추천0 조회수 20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덧띠무늬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주로 액체를 담고‚ 몸체 외면(?面)에 얇고 긴 덧띠를 세로로 붙이고 인화문(印花文)이 시문(施文)된 목이 좁은 그릇. <발달과정/역사> 병류(甁類)는 주로 통일신라시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그 종류에는 일면편병(一面偏甁)‚ 사면편병(四面偏甁)‚ 세경병(細頸甁) 등이 있다. 그리고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는 이전보다 다양한 종류의 병이 사용된다. 특히‚ 줄무늬병과 덧띠무늬병은 다른 몇몇 토기와 함께 통일신라시대 토기의 특징을 말해줄 수 있고‚ 흔히 유병(油甁)으로 많이 불리운다. 유병 중에는 화장품을 반죽하기 위한 기름을 담았던 병‚ 얼굴에 발라 살갗을 부드럽고 윤기나게 하는 피부미용 기름을 담았던 병 등이 있다. 사용량이 많은 머릿기름을 담는 병은 다른 병보다 비교적 큰 병들이 사용되었다. 이 병들은 산성내(山城內)의 건물지(建物址)‚ 생활유적(生?遺蹟)에서 넓은 분포를 보이고 있는 점으로 보아 장식용구(裝飾用具)가 아닌 실생활화 된 토기임을 알 수 있다. <일반적인 형태및 특징> 줄무늬병과 덧띠무늬병은 서로 기형(器形)이 비슷하다. 조금 벌어진 낮은 굽이 부착되어 있고 바닥에서 45-65도가량 벌어지면서 올라가다가 어깨부분에 이르러서 최대지름을 이룬다. 줄무늬병은 날카로운 도구로 병의 어깨에 세로로 돌려진 음각(陰刻) 침선(沈線)부분에서 부터 곧바로 굽의 바로 윗부분까지 음각 침선을 세로로 빽빽하게 그어내린 것과‚ 침선 위에 또 극히 가늘고 짧은 돋은 횡침선을 틈이 없이 눌러 찍는 두가지 기형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덧띠무늬병은 흔히 융기문병(隆起文甁)이라 불리며‚ 기벽에 덧띠만 세로로 덧붙인 것과‚ 이 덧줄 사이에 윗부분에 음각 원문(圓文)을 하나씩 넣은 것‚ 덧줄 사이에 음각 침선과 지그재그문을 나타낸 것‚ 덧띠 사이에 가는 돋은 횡침선을 눌러 시문한 것 등이 있다. 여기에 소개하는 덧띠무늬병은 몸[동체(胴體)]의 일부와 굽이 남아있으며‚ 내‚외면 회전물손질 정면하였다. 동체의 기면에는 덧띠문이 종방향으로 둘려져 있고‚ 자연유(自然釉)가 부분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동체 내면의 일부에는 태(胎)의 흔적이 남아 있다. 굽의 끝부분[단부(端部)]에는 2조의 횡침선(橫沈線)이 지나가고‚ 바닥에는 이상재(離床材)가 부착되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