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도가니

추천0 조회수 1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도가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동‚ 철 및 유리제품을 만들기 위해 광석(鑛石)에서 광물(鑛物)을 채취하거나 광물을 용해(溶解)하는데 쓰이는 용기(容器). <발달과정/역사> 우리나라에서는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부터 거푸집[범(范)]이 등장하고 있어 이때부터 도가니도 같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되지만 아직까지 선사시대(先史時代) 도가니의 확인 예는 없고‚ 삼국시대(三國時代) 말기에 속하는 백제시대 도가니가 보고되고 있다. 용기(容器)의 제작은 고화도(高火度)에서 터지지 않고 견디어 낼 수 있도록 거친 태토(胎土)를 사용한 산화염소성(酸化焰燒成)의 토제품(土製品)이 많으며 기벽(器壁)과 저부(底部)의 두께가 일반적인 토기류와 달리 두꺼운 컵형태의 것이 많다. 지금까지 보고된 도가니는 표면에 묻어있거나 내부 바닥에 남아있는 찌꺼기 등으로 보아 청동(靑銅)이나 유리(琉璃)를 제작할 때 사용하였던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도가니는 공방지(工房址)와 관련되는 유물로 고대 야금술(冶金術)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평가 받고 있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여기서 소개하는 유물은 토제(土製) 청동 도가니[감과(??)]이다. 기형(器形)은 둥근바닥[원저(圓底)]에서 바라지며 올라가다가 구연부(口緣部)밑에서 오목하게 들어갔다가 다시 바라진 후 구연부에서 약하게 안쪽으로 휘어[내만(內彎)]지고 있다. 내면(內面)에는 용액의 상한선(上限線)을 알 수 있는 흔적위에서부터 구연단(口緣端)까지 청동물질이 부착(附着)되어 있다. 외면(?面)에 부착되어 있는 금속물질에는 일부분에 기포가 나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