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기호명전

추천0 조회수 1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기호명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점토를 틀에다 찍은 다음 가마에서 구워만든 건축부재 <발달과정/역사> 전(塼)은 원래 목재의 부족을 보충할 목적으로 시작되었다고 하는데‚ 흙을 재료로 하여 높은 온도로 구웠기 때문에 내구력(耐久力)과 방화성(防火?)‚ 방한성(防寒?)이 뛰어나고 가공이 용이하여 건축재료로 널리 쓰였다. 중국에서는 전국(戰國)시대부터 전돌이 사용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한나라의 한사군 설치(B.C.2세기-B.C.1세기)에 따라 전문화가 전래되었다. 삼국시대를 거쳐 사용된 전은 용도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된다. 건축물 또는 묘실(墓室)바닥에 깔기위한 부전(敷塼)‚ 벽을 장식하는데 사용하는 벽전(壁塼)‚ 묘실을 축조할때 부재로 사용되는 묘전(墓塼)‚ 전탑에 사용되는 탑전(塔塼)등이 있다. 형태는 부전에서 주로 나타나는 방형과 장방형으로 측면에 문양이나 녹유를 표현하였다. 삼각형은 방형전을 비스듬히 깔아 모서리에 생기는 공간을 메웠다. 사다리형은 묘실의 아치를 만들때‚ 마름모형은 벽전에 주로 쓰였으며‚ 상자형은 내부가 비어있는 입방형으로‚ 그 용도는 알 수 없다. 전돌의 문양은 무문전(無文塼)도 있지만 연화문(蓮花文)과 보상화문(寶相華文)이 가장 많이 쓰였다. 또한 당초문(唐草文)은 만초류(蔓草類)이기 때문에 옆으로 긴 공간을 메우기에는 적당하여‚ 부전의 측면문양과 탑전에서 주로 볼 수 있다. 고려시대로 들어오면 면을 넓게 살려 화려함은 줄어들고‚ 문양의 배경에 횡선‚ 물결무늬를 촘촘히 쳐서 번잡한 느낌을 준다. 조선시대에는 전으로 바닥을 까는 일은 없고 문루와 담을 쌓는데 이용되는데 거의 무문전을 이용하였다. <제작방법과 과정> 전의 제작기법은 알아 보기 위해서는 민속적인 자료와 문헌등을 들 수 있다. RUDOLFP.HOMMEL의 "China at Work" 와 송응성(宋應星)의 "천공개물(?工開物)" 등에서 자세하게 나타나있다. (1)흙의 채취와 다지기: 강 어귀등지에서 흙을 운반해와서 물과 혼합한다. 이때 균등하게 혼합하기 위해 발로 밝거나 소를 이용한다. (2)성형:틀이 마련되는데 크게 해체형(解體型)과 고정형(固定型)으로 나눈다. 해체형은 양측면과 바닥면을 짜맞추게 되어있고‚ 대개 틀내(內)에 문양을 새긴 다음 점토를 눌려 넣는다.떼어낼때에는 해체한다. 고정형은 양틀과 바닥면이 일체화 되어있어 거꾸로 하여 떼어낸다. 대체로 전자는 문양전‚ 후자는 무문양전에 사용된다. (3)건조: 떼어낸 전을 5개정도씩 쌓아서 약 1주일간 건조시킨다. (4)소성: 건조된 전을 가마에서 굽는다. <일반적인 형태와 특징> 부분적으로 약간은 결손(缺損)나 완형(完形)에 가깝고 구체적인 용도는 알 수 없지만 대개 벽전이나 부전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한쪽 측면(側面)에 날카로운 도구로 새겨진 기호명(記號銘)이 확인되는데 지그재그형의 기호와 일(一)자모양이 시문(施文)되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