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인화문토기

추천0 조회수 1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인화문토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인화문토기(印花文土器)란 무늬가 새겨진 도장으로 토기 표면에 무늬를 찍은 토기이다. <발달과정 및 역사>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인 토기로서‚ 무덤 및 절터·궁터 등의 생활유적에서 출토되고 있고 부장품‚ 뼈항아리 이외에 일상용기로도 많이 사용되었다. 이 인화문의 그릇형태로는 굽접시‚ 긴목항아리‚ 바리‚ 병‚ 장군‚ 화로‚ 벼루 등이 있다. 무늬 종류로는 선문(線文)‚ 점렬문(點列文)‚ 파상문(波狀文)‚ 원문(圓文)‚ 호문(弧文) 등의 기하학무늬와 화형문(化形文)‚ 영락문(瓔?文)과 같은 식물무늬‚ 그리고 새‚ 구름무늬와 같은 것도 있는데‚ 콤파스로 그린 동심원문(同心圓文)과 날카로운 도구로 그린 삼각집선문(三角集線文)이 대표적이다. 6세기 말기에 출현하여 8세기 경에 전성기를 이루면서 통일신라시대 말기까지 제작되었으나 점점 무늬가 생략되면서 고려토기로 이어졌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여기에 소개하는 인화문토기의 몸체에는 5단의 말발굽형 종장연속문(縱長連續文)이 한 단위를 이루며‚ 이 종장연속문이 상하대칭(上下對稱)으로 시문(施文)되어 있다. 구연은 외반(?反)하며 외면(?面)에는 2줄의 횡선(橫線)이 돌아간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