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명문기와

추천0 조회수 3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명문기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기와 표면에 명문이 압인(押印)되거나 새겨져 있는 것. <발달과정 및 역사> 지금까지 보고된 자료를 근거로 할 때 경주(慶州)지역에서는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에 들어와 명문기와[명문와(銘文瓦)]가 제작(製作)되기 시작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는 안압지(雁鴨池)에서 출토된 의봉사년개토(儀鳳四年皆土)명 암키와이다. 본격적인 명문기와의 제작은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고려시대(高麗時代)부터라고 생각된다. 이들 명문의 내용은 절이름‚ 제작기호‚ 제작연대‚ 사용처 등으로 압인(押印)되거나 새겨진 형태로 나타나는데 주로 평기와의 철면(凸面)에서 확인된다. 조선시대(朝鮮時代)에 들어오면 이전의 고려시대의 명문기와의 전통은 유지되면서‚ 암막새[평와당(平瓦當)]의 드림부에 명문이 압인되는 예가 증가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목조건축의 지붕재로써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많은 수량을 차지하고 있는 수키와〔圓瓦‚ ?瓦]와 암키와〔平瓦‚ ?瓦]는 지붕에 씌워 기왓등과 기왓골을 형성하여 눈과 빗물에 의한 누수를 방지한다. 대부분 그 표면[철면(凸面)]에 선(線)·승석(繩蓆)·격자(格子)·화엽(花葉) 등의 고판(叩板)에 의한 타날문양(打捺文樣)이 장식되어 있다. 그러나 간혹 절이름‚ 제작기호‚ 제작연대‚ 사용처 등이 압인(押印)되거나 새겨져 있다. 여기에서 소개하는 명문기와는 측면(側面)과 몸체의 일부가 남아 있는 암키와이다. 외면은 회갈색‚ 깨어진 단면은 황갈색이다. 태토에는 1mm 내외의 세사립을 첨가한 것이 확인된다. 요면(凹面)에는 포목흔(布目痕)이 남아 있으며‚ 부분적으로 결실(缺?)되었다. 철면(凸面)에는 고판(叩板)의 두드림에 의한 타날문양(打捺文樣)이 남아 있다. 타날문양은 태선(?線)의 종선문(縱線文) 중앙에 방곽(方廓)을 만들고 그 안에 " 靈廟之寺 " 명이 좌서(左書)된 것이다. 측면에서는 와도흔(瓦刀痕)이 관찰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