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반달돌칼

추천0 조회수 3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반달돌칼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청동기시대에 곡식의 낟알을 거두어 들이는데 쓰던 도구. <발달과정/역사> 신석기시대말부터 쓰여지기 시작하여 청동기시대에 집자리[주거지(住居址)] 유적에서 거의 예외 없이 발견되며 초기 철기시대에 이르러 철제반달칼‚ 철제낫 등으로 대체되었다. 우리나라의 배모양[단주형(短舟形)]돌칼은 요동반도의 물고기모양[어형(魚形)]의 돌칼에서 자체적으로 발전하였다. 우리나라의 배모양돌칼은 중부지방 이남에서 청동기시대 중기와 후기에 성행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반달칼의 한복판이나 혹은 등쪽으로 약간 치우친 곳에는 보통 1-2개의 구멍이 뚫려 있는데 이 구멍사이에 끈을 꿰어 끈 사이로 손가락을 집어 넣어 곡식을 거두어 들이는데 사용하였다. 날과 등 부분의 형태에 따라 물고기모양(魚形)‚ 배모양(舟形)‚ 세모꼴(三角形)‚ 긴네모꼴(長方形)‚ 빗모양(櫛形) 등이 있고‚ 중국 반달돌칼은 대부분 등이 둥글고 날이 곧은 하현(下弦)달 모양인데‚ 우리의 것은 등이 곧고 날이 둥근 상현(上弦)달형 또는 배모양인 것이 특색으로 날은 한쪽면을 갈아서 세운 외날이다. 이와 비슷하게 쓰여진 것으로는 돌낫(石鎌)이 있는데 이는 나무자루에 끼워서 사용하였다. 여기에서 소개하는 유물은 반달돌칼로‚ 단주형(短舟形)이다. 몸체의 일부와 부분적으로 결손된 한 개의 구멍이 확인된다. 배면(背面)의 단면은 둥글게 마연(磨硏)하였고 인부(刃部) 부분에 비해 두께가 두껍다. 인부(刃部)는 한쪽면만 날이 있는 편인(片刃)이다. 깨어진 단면 부분을 통해서 구멍을 양쪽에서 뚫은 것이 확인된다. 몸체의 전면이 아주 매끄럽게 마연(磨硏)되어져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