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큰항아리

추천0 조회수 2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큰항아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둥근 몸통에 짧은 목이 달린 토기 가운데 높이 30cm이상의 항아리. <발달과정/역사> 삼국(三國)이 정립되기 이전 부족사회(部族社會) 또는 족장사회(族長社會)의 형태로서 여러 작은 나라들이 있었던 때‚ 다시 말해 마한(馬韓)·진한(辰韓)·변한(弁韓) 이라는 삼한(三韓)이 존재했던 때가 있었는데 이 시기를 고고학에서는 원삼국시대(原三國時代)라고 부른다. 연대상으로는 기원전후부터 서기 300년까지가 이 시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가 되면 종래의 민무늬토기 전통의 바탕 위에 한식(漢式)토기의 영향으로 새로운 토기문화가 나타나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회백색의 와질토기(瓦質土器)이다. 회백색의 와질토기는 그 형태의 변화에 따라 전기와 후기의 2기로 나뉘어 지는데 전기에는 민무늬토기의 형태를 계승한 주머니단지‚ 쇠뿔손잡이항아리‚ 짧은목항아리 등이 성행하며 후기에는 굽다리가 붙고 토기 뚜껑이 만들어지는 것이 특징으로 화로형토기‚ 뚜껑있는굽다리항아리‚ 굽다리접시‚ 큰 항아리 등이 나타나 삼국시대의 토기와 연결된다. 이들 토기는 지금까지 대부분 영남지방의 널무덤‚ 덧널무덤 등 무덤유적에서 출토되었는데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경주 조양동유적‚ 부산 노포동유적‚ 울산 하대유적 등을 들 수가 있다. 함께 출토되는 유물로는 칼‚ 창‚ 화살촉 등의 철제 무기류와 낫‚ 괭이‚ 끌 등의 철제 농공구‚ 그리고 유리‚ 수정제‚ 곱은옥 등의 꾸미개들이 있다. 회백색의 와질토기는 삼국시대가 되면서 더욱 단단한 경질토기(硬質土器)로 변화함에 따라 그 자취를 감추게 된다. <일반적인 형태와 특징> 여기에서 소개하는 큰 항아리는 표면의 색조가 갈회색(5YR 4/1)이고 속심은 연한 적갈색(5YR 4/3)이다. 소성(燒成)은 경질로 단단하며 동체부(胴體部)와 경부(頸部) 일부에는 자연유가 부착되어 있다. 구경부(口頸部) 내외면과 동체부의 외면(?面)은 회전물손질하였고‚ 동체의 내면(內面)은 물손질 처리하였다. 저부쪽 외면에는 소성시 부착된 토기편이 남아있다. 저부는 첨저상(尖底狀)의 원저(圓底)로 쪼으기 성형한 후 물손질 마무리 한 것으로 보인다. 경부(頸部)는 직립(直立)하여 올라가다가 외반(?反)하여‚ 구연단(口緣端)은 편평하게 처리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