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마제석촉(磨製石鏃)

추천0 조회수 5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마제석촉(磨製石鏃)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4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선사시대 사냥도구의 하나인 활의 부속품으로‚ 화살의 머리에 붙였던 첨두기(尖頭器). 한자어로는 석촉(石鏃)이라고 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제작기법상 타제와 마제가 있고‚ 흑요석‚ 혈암(頁巖)‚ 이암(泥巖)‚ 편암(片巖)‚ 판암(板巖)‚ 혼펠스(hornfels) 등 다양한 재료가 이용되었다. 타제가 전세계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는데 비해‚ 마제는 북유럽‚ 중국‚ 만주‚ 한반도‚ 일본 등 지구의 북반부에 한정되어 발견된다. 한반도에서는 신석기시대부터 초기철기시대에 이르기까지 사용시기가 길다. 그리고 여러 종류의 문화가 겹쳐 지역적 변화도 많고 기능도 변화되어 실용품 외에 의기화(儀器化)한 부장품용도 있다. 돌살촉이 출토되는 유적은 집자리‚ 무덤이 대부분이다. 특히‚ 지석묘와 석관묘에서는 마제석검과 반출(伴出)되는 예가 많다. 돌살촉 형식은 대개 화살대와 결합하는 부분의 뿌리의 유무에 따라 유경식(有莖式)과 무경식으로 나누기도 하고‚ 형태에 따라 버들잎형〔柳葉形〕‚ 삼각형‚ 능형(菱形)‚ 석침형(石針形)으로 나누기도 하며‚ 단면형태를 기준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1) 무경식 단면이 납작한 육각형이고 뿌리가 없고‚ 화살대와 부착하는 밑변에 여러 가지 변화가 있다. ① 삼각만입촉(三角彎入鏃) : 두 가지 형식이 있다. 하나는 촉신(鏃身)이 밑변으로 내려가면서 다소 오므라들고 밑변 중앙에 깊숙한 홈을 파서 화살대를 끼우도록 한 것이다. 봉산 지탑리(智塔里)‚ 온천 궁산리(弓山里)‚ 서울 암사동‚ 시도(矢島) 등 한반도 중서부지방의 빗살무늬토기 유적에서 출토되는 것으로 가장 빠른 시기의 돌살촉이며 무문토기시대 전기까지 사용되었다. 다른 하나는 촉신이 길지 않고 밑변을 안으로 둥글게 파내어 양변 끝이 미늘〔逆刺〕을 이루고 있다.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수량도 가장 많다. 용천 신암리(新巖里) 1문화층‚ 웅기 서포항(西?項)‚ 강릉 포남동(?南?)‚ 춘천 중도(中島)‚ 제원 황석리(黃石里)‚ 여주 흔암리(欣巖里)‚ 파주‚ 서울 근교 등 무문토기시대 집자리와 지석묘에서 출토되었으며‚ 동북지방의 공렬토기(孔列土器)와 관계가 있다. 신석기시대 말기에 시작되어 무문토기시대에 활발하게 제작되었고 초기철기시대에도 쓰였다. ② 삼각형촉(三角形鏃) : 모양이 정삼각형에 가깝고 밑변이 넓어지면서 직선 또는 직선에 가까워진다. 한반도 동검문화 내지 청동기문화와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랴오둥반도에서 요령식 동검(遼寧式銅劍)과 같이 출토되고‚ 한반도에서는 대전 괴정동(槐亭?)‚ 동서리(東西里) 등에서 세형동검과 같이 나온다. 또 연암산으로 1단은 단면이 육각형‚ 2단은 장방형 또는 원형이다. 평안남도‚ 황해도‚ 경기도‚ 충청도에 많이 보이며‚ 중부지방에서는 각형토기와 반출된다. 파주 옥석리(?石里)가 상한으로 초기철기시대까지 사용되었다. (3) 기타 유형 무경식‚ 유경식 외에 능형촉(菱形鏃)이 있다. 이 밖에 만주‚ 함경북도‚ 평안북도 지방에서 발견되는 삼릉촉(三稜鏃)‚ 단면이 원형이고 뿌리가 달린 원통촉(圓筒鏃)‚ 뱀머리처럼 생긴 형태로 신석기시대에 사용된 창두형(槍頭形) 등이 있으나 발견된 예가 많지 않다.(燕巖山)‚ 조도패총(朝島貝塚)에서도 나오고 있어 한반도 청동기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서기전후까지 사용되었다. ③ 버들잎형촉 : 단면이 납작한 육각형‚ 마름모꼴이 있으며‚ 빗살무늬토기 유적에서 많이 보인다. 특히‚ 단면이 마름모꼴인 형식은 동북지방에서 많이 보이고‚ 각형토기(角形土器) 유적에서도 많이 보인다. (2) 유경식단면이 마름모꼴로 뿌리와 촉신의 경계가 뚜렷하고 양쪽에 날개가 발달되어 있다. ① 1단경식(一段莖式) : 뿌리가 1단으로 단면이 육각‚ 원‚ 장방형이다. 가장 넓은 분포를 보이며‚ 신석기시대 말기부터 초기철기시대까지 사용되었다. 이 중에는 길이가 지나치게 길어 의기화한 양식이 무덤에서 부장품으로 나오는 예가 많다. ② 2단경식(二段莖式) : 뿌리가 2단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