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대부장경호

추천0 조회수 1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대부장경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7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원삼국시대(原三國時代) 후기(後期)에 영남지역 전역에 걸쳐서 출토되고 있는 `신식와질토기(新式瓦質土器)`의 표지적(標識的)인 기종(器種)으로‚ 받침(臺)이 부착(附着)되어 있으며‚ 아가리(口緣) 부분이 유난히 벌어져서 `대구광구호(臺附廣口壺)`라고 불리기도 한다. [발달과정/역사] 굽다리긴목항아리의 조형(祖形)으로는 원삼국시대 중기에 표지적으로 출토되는 `고식와질토기(古式瓦質土器)` 기종인 쇠뿔손잡이항아리(組合式牛角形把手附壺)가 점차 받침이 붙게 되거나 그릇받침(器臺)과 결합된 형태로 나타난다. 그 예는 김해 대성동 유적 주변 제1지구 13호묘 출토품과 영남지방 출토로 전하는 호림박물관 수장품을 들 수 있다. 굽다리긴목항아리는 울산 하대 유적 출토품이 가장 빠른 것으로 보인다. 그 예로 하대 43호묘와 44호 묘의 출토품을 들 수 있는데‚ 44호묘에서는 쇠뿔손잡이항아리와 동반출토되어 어느 정도 빠른 시기의 것임을 알 수 있다. 굽다리긴목항아리는 굽다리입곧은항아리(臺附直口壺)와 동반출토된 예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아 굽다리목곧은항아리로 교체되며서 소멸된 듯하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전체적인 기형(器形)을 입술과 목부(口頸部)‚ 몸체부(胴體部)‚ 다리(臺附)로 나누어서 살펴보면‚ 목부분은 약간 벌어지면서 올라오다가 입술끝(口緣端)에 이르러 급하게 밖으로 벌어지며‚ 몸체는 역삼각형(逆三角形)·장동형(長胴形)·편구형(扁球形)의 모양을 이루고 있고‚ 다리는 나팔상(喇叭狀)으로 벌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접시형 뚜껑(蓋)와 세트를 이루며 출토되는 예가 많다. 이 굽다리긴목항아리는 회갈색의 경질토기이다. 구연부와 동체부 일부가 결실되었다. 구연부는 1조의 심선을 중심으로 완만하게 올라가다가 2조의 돌대를 기점으로 외반한다. 동체부는 어깨부위에 1조의 심선이 있으며 대각은 7개의 장방형투창이 1조의 돌대를 중심으로 상하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