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가래

추천0 조회수 2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가래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정지작업이나 흙을 옮기는 작업 등에서 흙을 파서 던지는 데 쓰는 농기구. [개념] 삽을 변형시켜 만든 것으로 넓죽한 삽날에 긴 나무자루를 박고‚ 삽날 윗부분 좌우측에 각각 줄을 매어 사용한다. 보통 3∼5인이 사용하는데‚ 한 사람은 자루를 잡고‚ 2∼4인이 양쪽에서 줄을 잡아 당기며 작업을 한다. 삽보다 작업 능률이 높고 여러 사람이 공동작업을 할 수 있다. [구조 및 기능] ≪훈민정음해례≫에는 `佳래[嵩]`로‚ ≪천일록(千一錄)≫에서는 `가내(可乃)`로‚ ≪해동농서(涇東農書)≫에는 `험(領)`으로 표기되었다. 끝에 쇠날이 달려 있어 `堪가래`‚ 넓적하다 하여 `넙가래`라고도 하였다. 생나무를 자루와 몸이 하나가 되도록 깎고 둥글넓적한 몸 끝에 말굽쇠 모양의 쇠날을 끼웠다. 몸 양쪽에 구멍을 뚫고 줄을 꿰었으며‚ 한 사람이 자루를 잡고 흙을 떠서 밀면 양쪽에서 두 사람이 그 줄을 당겨 흙을 던진다. 줄의 길이는 대체로 자루의 길이와 비슷하다. 가래질은 줄꾼 두 사람과 장부(자루)잡이 한 사람 등 모두 세 사람이 하는 `세손목 한카래`가 있고‚ 장부잡이 한 사람과 줄꾼 여섯 사람 등 모두 일곱 사람이 하는 `일곱목 한카래`‚ 그리고 두 개의 가래를 연이은 것에 장부꾼 두 사람과 줄잡이 여덟 사람 등 모두 열 사람이 하는 `열목 카래` 등이 있는데‚ 보통은 `세손목 한카래`로 일을 한다. 흙을 떠서 옮기는 일을 `가래질`이라고 하고 가래로 떠낸 흙덩이를 `가랫밥`이라고 한다. 또‚ 가래를 세워 흙을 깎는 일을 `칼가래질`‚ 논둑이나 밭둑을 깎는 일을 `후릿가래질`이라고 한다. 가래로는 소가 들어가지 못하는 진흙밭이나 물이 많이 나는 논을 갈고‚ 밭이랑을 일구기도 한다. 또‚ 흙을 떠서 던지는 데에도 쓰며‚ 도랑을 치고 논둑을 쌓거나 깎을 때에도 이용한다. 근래에는 집터를 닦거나 도로공사를 할 때 쓰는 일이 많은데‚ 쇠를 통으로 부어서 삽처럼 만들고 양 귀에 고리를 단 것이 흔하다. 남자 세 사람이 하루 6백여 평의 진흙밭을 고를 수 있다. 수명은 대체로 4‚ 5년이며 재래식의 무게는 2.5㎏쯤 된다. [부분 명칭] 가래의 부분 명칭은 다음과 같다. ① 가래장부:가래의 자루와 몸. ② 군두구멍:가랫바닥의 좌우 양쪽에 뚫은 구멍으로 거기에 군두새끼를 꿴다. ③ 군두새끼:군두구멍에 꿰어서 가랫줄을 얼러 매는 가는 새끼. 흙이 묻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가죽을 쓰기도 한다. ④ 꺾쇠:가랫바닥과 날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박는 쇠못. ⑤ 군두:가래의 날을 맞추어 끼우는 넓적한 판. ⑥ 가랫바닥:가래의 몸으로 위에 긴 자루가 달리고 끝이 둥글삐죽하여 가랫날을 끼우게 된 넓적한 나무. ⑦ 각시노리:가래의 양편에 있는 군두구멍을 얼러 맨 군두새끼가 감아 돌아간 장부의 목 부분. ⑧ 게재비 구멍:가래 날개 위쪽으로 벌어진 틈으로 홈처럼 되어 있어 나무 바탕을 끼워 맞추는 자리. ⑨ 장부촉:장부의 끝. ⑩ 가랫날:가래 끝에 끼우는 쇠로서 삽 모양으로 끝이 둥글삐죽하고‚ 위는 가로 홈이 져서 가랫바닥의 끝이 끼게 되었으며‚ 양편에 꺾쇠구멍이 있다. ⑪ 살군두:가래의 날을 장부의 바닥에 얼러 매는 줄로 꺾쇠 대신 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