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귀면와

추천0 조회수 160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귀면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도깨비 얼굴을 새겨 장식한 사래 끝에 붙이는 기와. [개념] 귀면와(鬼面瓦)는 원래 수면(?面)을 무섭게 의장화한 것으로 악귀의 침입을 방지하려는 벽사(?邪)의 상징으로 목조 건물의 마루와 사래 끝에 장식한 것이다. [역사] 귀면문의 기원은 중국의 은나라 이후 청동기의 문양으로 시문된 도철문(瑾隨文 : 두 개의 눈을 주체로 한 중국 고대의 기이한 무늬)에 있다. 그러나 귀면문이라는 개념에 포함될 수 있는 형식이 성립된 시기는 한대(漢代)로 생각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도깨비기와라고도 한다. 나쁜 귀신을 쫓는 것은 영악한 귀신이라야 할 수 있다고 옛날 사람들은 생각하였다. 마을의 재앙을 막아준다고 믿은 장승이 귀면(鬼面)인 것도 귀신에게 벽사하는 힘이 있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지방에 따라서는 도깨비탈[鬼形面]을 문에 걸어서‚ 잡귀나 마마의 침범을 막는 풍속이 있었다. 이러한 생각에서 사래 끝에 귀면와를 만들어 달았다. 아래는 넓고 위는 약간 좁으며‚ 둥근 방패 모양의 넓적한 기와 표면에는 눈·코·입을 중점적으로 강조해서 무서운 표정을 나타냈다. 눈썹 사이에 구멍을 뚫어서 사래 끝에 못을 박게 만들었다. 입에는 날카로운 어금니가 양쪽에 돋아 있고‚ 머리에는 뿔이 2개가 나 있다. 거친 수염과 머리카락이 더 무서워 보인다. 양쪽 옆과 윗면에는 넓은 주연대(周緣帶)가 튀어나와 있다. 거기에는 인동무늬·당초무늬·연주무늬 등이 조각되기도 한다. 그리고 옆면에도 당초무늬대를 돌렸다. 귀면의 조각은 깊이 패어 햇빛을 받은 면과 그늘진 면의 농담(濃?)의 차이가 뚜렷하여 인상이 강렬하다. 신라시대의 귀면와 중에는 녹유(綠釉)를 입힌 것도 있다. 이 와당은 지붕 마루에 얹혀지는 도깨비 얼굴 기와로‚ 상단부가 결실되었다. 귀면은 비교적 험상궂게 두 눈이 융기되고 입 사이로 이빨이 뾰족하게 튀어나와 있다. 양쪽 주연대(周緣帶)에는 주문(?文)이 배열되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