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장도

추천0 조회수 4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장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위급한 상황에 대비한 호신용이나 여러 가지 용도를 겸한 장식용의 작은 칼. [발달과정/역사] 신라시대부터 패용한 것으로 보이며 조선시대에는 여자들의 노리개 대용으로 유행하였고 남자들은 주머니‚ 담배쌈지와 더불어 허리띠에 차기도 하였다. 장도는 패도(佩刀)‚ 운검(雲劍)‚ 패검(佩劍)이라고도 불린다. 부녀자들이 주머니 속에 넣고 다니는 칼은 낭도(囊刀)라고도 한다. 장도에는 운도와 패도 두 가지가 있는데 패도는 칼의 모양이 반월처럼 굽어있는 모양을 말하고‚ 운도는 일직선으로 되어 칼집에 들어있는 것을 말한다. 패도는 호신용으로 차고 다니는 것보다는 의식용으로 차고 다녔던 것으로 보인다. 장도는 사대부 부인들이나 양반 규수들에게 정절의 상징으로 인식되어 왔다. 장도는 부녀자들이 자기를 방어하고‚ 절개를 지키려는 최후의 수단으로 자결을 할 때 사용되었다. 이처럼 장도는 자기를 보호하는 호신용 또는 의장용으로 사대부 부녀자들이 으레 차고 다니는 풍습에 관계된 용도와 부녀자들이 유사시에 피습을 당했을 때 정절을 지키기 위해 지니고 다니는 일종의 무기로서의 용도가 있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칼을 만드는 관청에 장인을 두어 갖가지 도검을 만들어냈다. 장도는 칼자루‚ 칼날‚ 칼집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칼날은 3-5촌(寸)정도이며‚ 강한 쇠를 20여 차례 불에 달구고 망치로 두들겨 단련해서 사용했다. 칼집과 칼자루는 먹감나무‚ 대추나무(벼락 맞아 말라죽은 대추나무를 최상품으로 친다.)‚ 화류와 같은 나무를 비롯하여‚ 대모[?瑁:거북이의 한 종류로 등딱지는 고예품에 쓰임]‚ 물소뿔 및 금은 등으로 만든다. 목제의 경우에는 칼자루와 집이 맞물리는 곳에 쇠붙이 장식띠를 돌리며‚ 모재비의 경우에는 양 끝을 쇠붙이로 장식하는 하맥이기법을 쓰기도 한다. 최남선은 《고사통(故事通)》에서 남녀의 옷고름에 장도를 차는 것은 몽고풍습이 들어와서 유행한 것이라 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