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쇠뇌(수노기)

추천0 조회수 25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쇠뇌(수노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조선시대 연속 사격이 가능한 쇠뇌[連弩]의 일종 <발달과정/역사> 활보다 멀리 쏠 수 있는 장거리 공격용 무기인 쇠뇌는 중국 춘추(春秋) 시대부터 사용하였다고 전해지는데‚ `무려 600걸음 밖을 쏠 수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쇠뇌는 활의 약점을 보완하면서 전투수행을 보다 순조롭게 진행시킬 수 있는 강력한 무기로‚ 기습 전투에 적합한 병기로써 이후 점차 광범위하게 보급되었으며‚ 한대(漢代)에 이르러 흉노(匈?)와 싸우는 과정에서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구조도 정교해졌다. 유럽에서는 10-11세기에 이탈리아에서 처음 개발된 이후 중세 때의 주무기로 사용되었으나‚ 15세기 말 화승총이 나타나면서 점차 모습을 감추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삼국시대 이전부터 사용된 흔적이 보인다. 평남 강서군(江西郡) 태성리(台成里)의 15호 토광묘(土壙墓)‚ 황해도 은파군(銀波郡) 갈현리(葛峴里) 부조예군(?租 君) 무덤 등 낙랑유적지에서 출토된 발사장치 아(牙)?살촉 등에서 그 초창기의 모습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다만 이들 유물이 B.C 2~B.C 1세기의 낙랑유적에 집중되고 있어 한반도에서 제작한 것이었는지에 대해서는 불분명하다. 삼국시대에 들어서는 신라군의 부대편성을 전한 {삼국사기(三國史記)}의 직관지(職官志) 무관조(武官條)에 "노당(弩幢)"의 기록이 보이며‚ {주서(周書)}의 고려전(高麗傳)에 고구려가 보유한 병기를 설명하면서 "노(弩)"를 언급하여‚ 고구려와 신라에서 쇠뇌를 전투무기로서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백제의 경우‚ 자료나 유물이 전해지지 않으나 고구려?신라처럼 사용하였을 것으로 믿어진다. 또한 {삼국사기}에는 당(唐)이 신라의 노사(弩師) 구진천(仇?川)을 데려가 쇠뇌를 제작케 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신라의 쇠뇌 기술이 뛰어났음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성(城) 위에 배치하였다는 포노(砲弩)나 이동식 대형 쇠뇌로 여겨지는 거노(車弩) 등의 사용 사례를 전하고 있어 다양한 전투양상에 알맞은 전투무기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쇠뇌의 기술과 기능은 고려시대에도 계승되어 주요한 전투무기로서 사용되었음을 {고려사}(高麗史)의 여러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조선시대의 쇠뇌로는 수노기와 궐장노(蹶張弩) 등이 있는데‚ 다양한 형태의 쇠뇌가 사용되었는데‚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인 행주대첩에서 비격진천뢰 등과 함께 쇠뇌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전한다. 또 조선 후기 정조(正祖)가 신도시로 건설한 경기도 수원 화성에는 쇠뇌를 쏠 수 있는 누대(樓臺:서장대와 서노대)가 따로 세워질 정도로 전투에서 중요하게 쓰였던 무기임을 알 수 있다. 대여품) <제원> 길이 101㎝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수노기(手弩機)는 조선 후기에 신헌(申櫶) 장군이 훈련대장으로 있을 때 훈련도감(訓練都監)에서 제작하여 사용한 쇠뇌이다. 수노기는 기존에 있던 쇠뇌의 발사장치를 개량하여 장전 및 발사가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3발 내지는 10발까지 연속발사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 장전 발사가 용이하여 나이 어린 소년이나 부녀자까지도 사용할 수 있다 하여 일명 부인노(婦人弩)라고도 한다. 그 형태는 화살을 올려놓을 수 있는 틀(노상 弩床)을 마련하여 앞부분에 활[弩弓]을 장착시키고‚ 윗부분에 화살이 들어있는 통이 있고‚ 뒷부분에는 시위를 걸어 발사할 수 있는 장치가 있다. 다만 이 유물은 활과 화살통은 떨어져 나가 없어졌다.(국립중앙박물관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