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철모(鐵矛‚ 鐵?)

추천0 조회수 3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철모(鐵矛‚ 鐵?)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초기철기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널리 쓰인 찌르는 무기 <발달과정/역사> 근거리 무기 가운데 대표적인 창류(槍類)는 돌창처럼 매우 이른 시기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만들기 쉽고 던진다든가 손에 쥐고 적을 공격하는데 편리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기 방어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자루의 끝에 찌르는 양날의 날끝을 붙여‚ 자루를 양손에 쥐고 그 끝으로 적을 향해 찔렀다. 석기에서 청동기‚ 그리고 철기로 도구 제작의 주재료가 바뀌어 가면서 창날의 재질도 바뀌어 갔다. 철모는 자루의 끝에 찌르는 양날의 날끝을 붙여‚ 자루를 양손에 쥐고 그 끝으로 적을 향해 찌르거나 베는 무기였다. 중국의 철모는 보병용이 4.5m‚ 전차병용(戰車兵用)이 5.4m였는데‚ 우리의 경우에는 고구려 고분벽화나 군사유적 출토유물에서 보이듯이 보기병(步騎兵)의 가장 중요한 무기로 사용되었다. 또한 재지적(在地的) 보수성이 강하여 중국의 영향을 적극 받아들이기 보다는 자체 제작기술의 전통을 많이 유지하여‚ 청동기시대의 동모(銅?‚ 銅矛) 형태를 계승하였다. 철모는 길이에 따라 단봉식(短鋒式)·중봉식(中鋒式)·장봉식(長鋒式)으로 구분되는데‚ 시기가 내려올수록 철모의 길이는 대체로 길어지며 날 부분인 신부(身部)에 비해 자루를 끼우는 부분인 착병부(着柄部)의 길이가 짧은 편이다. 이와 관련하여 착병부의 길이가 매우 짧아 실용성이 전혀 없는 양식도 나타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것은 날 부분의 단면이 마름모꼴에 자루 쪽의 날부분이 양 옆으로 솟아있는 형태의 철모이다. 짧은 신부의 철모는 찌르는 데에 유리하며‚ 베는 데에는 신부가 긴 것이 유리하다. 2세기 후반에서 4세기 초까지 변·진한(弁?辰韓)이 위치했던 경상도지역에서는 장신형이며‚ 단면이 판상으로 된 철모가 많이 나오는데‚ 당시 베는 기능을 담당할 대도(?刀)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신부가 긴 철모를 사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베는 기능을 고려하여 제작한 철모이다. 전체적으로 부식이 심한 편이다. <제원> 51.5cm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