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쇠도끼(철부 鐵斧)

추천0 조회수 10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쇠도끼(철부 鐵斧)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삼국시대 공구류의 하나 <발달과정/역사> 이 쇠도끼는 자루를 요즘처럼 끼우는 횡공부(橫孔斧)가 아니라 도끼날의 반대편에 자루를 끼울 수 있도록 한 도끼이다. 횡공부에 비해 많이 출토되고 있어 무기라기 보다는 본래의 공구 용도에 주로 사용되었다고 믿어진다. 이들은 제작방식에 따라 주조쇠도끼(鑄造鐵斧)와 단조쇠도끼(鍛造鐵斧)로 나뉜다. 주조쇠도끼는 주물틀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청동기시대의 유물들과 함께 나오기 시작하여 B.C 4-3세기경부터 유입되어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들 주조쇠도끼는 형태로 보아 구부러진 나무를 공부에 끼워 사용하면 종(縱)방향이나 횡(橫)방향 어느 쪽으로도 사용이 가능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측면의 형태는 주로 이등변삼각형 모양을 띤다. 단조쇠도끼는 두드려 제작한 것으로 본격적인 철기시대부터 사용되어 삼국 모두에서 널리 쓰였다. 공부의 단면은 주조쇠도끼와 큰 차이가 없이 장방형이나 타원형으로 되었다. 주조쇠도끼에 비해 발달된 기술로 제작되었으며 훨씬 강하기 때문에 벌채용이나 각종 작업에 유용하게 쓰였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주조쇠도끼 가운데에는 주조괭이라고 분류하는 형식도 있는데‚ 이것은 종단면이 이등변삼각형이 아니라 직각삼각형을 띤다. 공부의 횡단면도 마름모꼴을 이루어‚ 끼울 자루의 방향을 고려해 볼 때‚ 횡방향의 기능은 가능하지만‚ 종방향으로는 사용하기는 어렵다고 보아 경작용 농기구로써 사용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도끼는 단조쇠도끼로써 적을 살상하는데 사용한 무기는 아니었지만 벌채용이나 군사용으로 사용되어‚ 군대의 숙박시설이나 축성‚ 혹은 참호를 파는데 유용하게 쓰였다고 추정된다. 이는 고구려 군사유적인 아차산보루유적에서 이러한 형태의 도끼들이 나온 데에서 유추할 수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