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전주이씨가승

추천0 조회수 6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전주이씨가승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족보란 부계(父系)를 중심으로 혈연관계(血緣關係)를 도표식으로 나타낸 한 종족의 계보(系譜)를 말한다. <일반사항 및 특징> 일명 보첩(譜牒) ·세보(世譜) ·세계(世系) ·가승(家乘) ·가첩(家牒) ·가보(家譜) ·성보(?譜)라고도 한다. 국가의 사승(史乘)과 같은 것으로‚ 조상을 존경하고 종족의 단결을 뜻하며‚ 후손으로 하여금 촌수의 멀고 가까움에 관계치 않고화목의 풍을 이루게 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족보는 존비(尊卑) ·항렬(行列) ·적서(嫡庶)의 구별을 명백히 하고 있다. 본래 족보는 중국에서 비롯된 것으로‚ 후한(後漢) 이후 중앙 또는 지방에 대대로 고관을 배출하는 우족(右族) ·관족(冠族)이 성립됨에 따라 문벌과 가풍을 존중하는 사상이 높아져 육조(六朝) 시대에 이르러 족보의 작성 및 보학(譜學)이 발달하였다. 한국 족보 간행은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별집에 보면‚ 1562년(명종 17)의 《문화유보(文化柳譜)》가 최초라 하였으나 오늘날 전하지 않는다. 문헌적으로 믿을 수 있는 최초의 것은 1476년(성종 7) 간행된 안동권씨(安東權氏)의 족보 《성화보(成化譜)》로서 《문화유보》보다 80년 앞서고 있다. 그러나 《고려사(高麗史)》를 보면 고려 때에도 양반 귀족은 그 씨족계보(氏族系譜)를 기록하는 것을 중요시하였고‚ 관제(官制)로서도 종부시(宗簿寺)에서 족속보첩(族屬譜牒)을 관장했다는 것으로 보아 당시의 거가(巨家) 귀족(貴族) 사이에는 보계를 기록 보존하는 일이 실제로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족보를 가첩이라 함은 동족 전부에 걸친 것이 아니라 자기 일가의 직계에 한하여 발췌초록(拔萃抄錄)한 세계표(世系表)를 가리키며‚ 가승이라 함은 계도(系圖) 외에 선조의 전설 ·사적에 관한 기록을 수록한 것을 가리킨다. 일반적인 족보는 이른바 종보(宗譜)에 해당하는 것이며‚ 여기에서 분파된 일단(一團)의 세계(世系)에 대해서는 이를 지보(支譜) ·파보(?譜)라 부른다. 이들 파보에는 그 권수가 많아 종보를 능가하는 것도 적지 않다. 파보는 시대가 변천함에 따라 증가되어가고‚ 그 표제에 연안김씨파보(延安金氏?譜) ·경주이씨 좌랑공파보(慶州李氏佐郞公?譜) ·순창설씨 함경파세보(減昌薛氏咸鏡?世譜) 등과 같이 본관과 성씨 외에 지파의 중시조명(中?祖名) 또는 동족부락의 거주지로 보이는지명을 붙이고 있으나‚ 내용과 형식에서는 족보와 다름없다. 따라서 한 성씨족의 족보이면서 여러 종류의 족보 성격을 띤 것이 많다. 이에 대해 국내의 족보 전반에 걸쳐 망라한 계보서가 있다. 즉‚ 《청구씨보(靑丘氏譜)》 《잠영보(簪纓譜)》 《만성대동보(萬成?同譜)》 《조선씨족훈을 수록한 것도 있다. 이상은 모두 혈통 표시의 필요에서 이루어진 것이지만‚ 이러한 습속의 연장으로 환관(宦官) 사이에도 계보를 끊이지 않고 이성(異?)을 입양시켜 자손으로 삼고 혈족적 가계의 유형을 보존하고 있는 양세계보(養世系譜) 등도 있다. 족보의 기록 내용은 족보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기록한다. 우선 권두에 족보 일반의 의의와 그 일족의 근원과 내력 등을 기록한 서문(序文)이 있다. 이 글은 대개 일족 가운데 학식이 뛰어난 사람이 기록하는 것이 상례이다. 다음에는 시조나 중시조의 사전(史傳)을 기록한 문장이 들어가고‚ 다음에는 시조의 분묘도(墳墓圖)와 시조 발상지에 해당하는 향리지도 등을나타낸 도표가 들어가며‚ 그 밑에 범례가 있다. 끝으로 족보의 중심이 되는 계보표가기재된다. 이것은 우선 시조에서 시작하여 세대순으로 종계(縱系)를 이루며‚ 같은 항렬은 횡으로 배열하여 동일 세대임을 표시한다. 기재된 사람은 한 사람마다 그 이름 ·호(號) ·시호(諡號) ·생몰 연월일 ·관직 ·봉호(封號) ·훈업(勳業) ·덕행(德行) ·충효(忠孝) ·문장 ·저술(著述) 등을 기록한다. 또‚ 자녀에 대해서는 입양관계‚ 적서의 구별 및 남녀의 구별 등을 명백하게 한다. 통보(朝鮮氏族統譜)》 등이다. 국가 ·사회에서 현달(顯達) ·귀현(貴顯)의 세계를 명백히 하려고 한 보서(譜書)로 《문보(文譜)》 《삼반십세보(三?十世譜)》 《진신오세보(縉紳五世譜)》 《호보(號譜)》 등도 있으며‚ 《대방세가언행록(帶方世家言行錄)》 《보성선씨오세충의록(寶城宣氏五世忠義錄)》 등과 같이 자기 조상 중 특히 충효절의(忠孝節義)의 사적(事蹟)과 공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