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저고리

추천0 조회수 1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저고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한복의 여자 웃옷. <일반사항 및 특징> 길·소매·섶·깃·동정·고름이 갖추어져 있으며‚ 겹과 홑의 2가지가 있다.옛 문헌에는 유() 또는 위해(尉解)로 표현되어 있는데‚위해는 신라어(新羅語)의 사음대자(寫音對字)일 것이라는 설이 있으며‚ 조선시대 임진왜란 전에 부른 `우티`‚ 오늘날 전국적으로 사용하는 `우치`‚ `우태`‚ `우티` 등의방언도 이에서 나온 말이라고 한다. 저고리라는 명칭은 조선 제4대 세종(世宗) 2년(1420) 원경왕후(元敬?后:?宗? 閔氏)의 선전의(選?儀)에 `홍단자 저고리[紅緞子 赤古里]`란 말이 처음 나온다. 상고시대 한국 복식의 기본형에서 저고리는 깃을 외로 여미는 좌임(左)에 소매가 좁은 통수(筒袖)이고‚ 길은 둔부선까지 내려오는 긴 것이었으며‚ 깃·도련·소맷부리에는 선()이 있었고‚ 요대(腰帶)를 매었다. 이것이 상류사회에서는 중국 복식의영향을 받아 좌임에서 우임(右)으로 변하고‚ 소매도 넓어져 관수(寬袖)로 바뀌었는데‚ 고려 이후는 완전히 우임으로바뀌었고‚ 길이도 다소짧아지면서 요대 대신 고름으로 여미었으며‚ 깃에 동정을 달았다. 선은 겨드랑이·깃·끝동에 여운을 남길 뿐이다. 그런데 고려 후기 몽골 복식의 영향을 받으면서부터 소매도 착수화(窄袖化)되고 길이도 아주 짧아졌는데‚ 이러한 경향은 조선시대전기 이후 심해져‚ 여름 홑저고리의 경우 위로 말려 올라가 치마 허리도 감추지 못하고 유방이 보일 정도로 짧아졌다. 이러한 저고리의 단소화(短少化) 경향은 조선시대 말기에 더욱 심했으며‚ 개화기에도 그대로 지속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개화기초 기독교 전도부인들 사이에서 서양 여선교사의 양장의 간편함을 보고 이를 본떠 저고리를 길게 하고 치마를 짧게 해서 입기 시작하자‚ 이를 신여성들이 본받았고‚ 여학생들의 교복도 이와 같이 하여 오늘날의 저고리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저고리는 만드는 방법에 따라서 봄·가을용에 물겹저고리·박이저고리‚ 여름용에 적삼·깨끼저고리‚ 겨울용에 솜저고리·삼겹저고리 등이 있으며‚ 모양에 따라서 보통저고리·삼회장저고리·반회장저고리·색동저고리·쌍깃저고리·개량저고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저고리는 뒷길·앞겉길·앞안길·소매·겉섶·안섶·동정·깃·옷고름·안옷고름·끝동·곁마기 등으로 구성되며‚ 긴고름과 짧은고름 두 가닥으로 앞가슴에서맺어 왼쪽으로 고를 내어 착용한다. 옷감은 겉감에 견·목면·모직·화학섬유 등을 다양하게 사용하고 안감에는 얇은 견이나 얇은 목면을 사용한다. 빛깔은 종래에는 흰색이나 엷은 색을 주로 썼으나‚ 오늘날에는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입는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