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자상감팔각국화문(靑磁象嵌八角菊花文)접시

추천0 조회수 2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자상감팔각국화문(靑磁象嵌八角菊花文)접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8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청자란 점력이 좋은 자기질의 점토 위에 철분이 함유된 석회질의 유약을 발라 1200℃ 이상의 온도에서 산소공급이 적은 환원염(還元炎)으로 구운 자기를 말하며‚ 상감이란 금속 ·도토(陶土) ·목재 등의 소지(素地) 표면에 여러 무늬를 새겨서 그 속에 같은 모양의 금 ·은 ·보석 ·뼈 ·자개 등 다른 재료를 박아넣는 공예기법을 말한다. 즉 청자상감이란 자기가 마르지 않았을 때 문양을 음각(陰刻)하고‚ 그 부분에 백토니(白土泥)‚ 또는 자토니(裏土泥:붉은 흙)를 메꾸고 예번(豫燔)한 다음 다시 청자유(靑瓷釉)를 바르고 본번(本燔)하는 자기(瓷器) 장식기법이다. <일반사항 및 특징> 고려청자의 진가를 세계에 알린‚ 다른 나라의 도자기제품에는 유례가 없는 기법으로‚ 의종대(毅宗代:1147∼1170)에 창안되어 고려청자에 응용되었다. 상감청자의 문양으로는 운학(雲鶴)·양류(楊柳)·보상화(寶相華)·국화(菊花)·당초(唐草)·석류(石榴) 등 여러 가지가 쓰였으며‚ 특히 운학무늬와 국화무늬가 가장 많이 쓰였고‚ 국화무늬는 조선시대에도 애용되었다. 상감청자의 특징은 충분한 공간을 남겨두는 데 있으며‚ 상감문양을 전면적으로 쓴 경우에도 배경으로서의 공간은 여유있게 남기고 있다. 또한 문양이 단일문양의 기계적인 반복이 아니라‚ 죽(竹)·유(柳)·화(花) 등이 중심이 되는 문양을 전경(前景)에 크게 내세우고‚ 수(水)·조(鳥)·암(岩)·인물 등을 배치하여 하나의 화폭과 같은 화면의 효과를 내고 있으며‚ 운학무늬의 경우에도 문양으로서가 아니라 하나의 화면으로 만들려는 의도가 보인다. 또한 모란꽃이나 보상화의 경우에도 넓은 화판(花瓣)을 백토상감(白土象嵌)하고 배경을 흑토상감해서 흑백의 윤곽을 인상적으로 나타낸 것도 있다. 대표적인 상감청자로는 이화여자대학교에 소장된 죽문병(竹文甁)‚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모란문매병(牧丹文梅甁)‚ 간송미술관에 소장된 천학문매병(千鶴文梅甁) 등이 있다. 이 유물은 청자팔각접시로 태토도 거칠고 구연도 예리하게 마무리 되지 않았다. 그릇 안바닥은 팔각형이지만 굽은 둥근 형태이다. 유약은 회록색으로 두껍게 시유되어 있다. 안바닥 중앙에는 둥근원 안에 펼쳐진 국화꽃잎을 상감장식 하고 있고‚ 외벽은 각면의 연결부위가 둥글게 처리되고 각면은 사각형의 구획안에 국화문을 상감하였다. 낮은 굽에는 1줄의 횡선을 백상감 하였고 4개의 받침자국이 붙어있다. 14세기의 작품이다. 위로 약간 벌어진 八角의 두꺼운 器壁으로된 접시다.樣式은 아래 위 모두 白色線條帶를 두르고 그 사이에는 角面마다 역시 白色의 四角線帶를 두었으며 그 안에는 滿開된 국화 두 송이씩을 黑白으로 상감하였다. 굽은 얕고 둥근데 硅石받침이 세 개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