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목극

추천0 조회수 2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목극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목극(木 )은 옛날에는 `격지`‚ `목리(木履)`‚ `목혜(木鞋)`라고도 하며‚ 근래에는 나무신의 와언(訛言)인 `나막신`으로 통칭된다. 주로 비나 눈이 올 때 신는 신발로‚ 나무로 만들었다. 신발 모양은 굽이 있는 것과 굽이 없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굽의 용도는 발에 물이나 진흙이 튀어 들어가는 불편을 막기 위한 것이다. 굽이 높아 비 올 때는 좋으나 무겁고 활동적이지 못하여 말을 탈 때나 먼 길을 갈 때는 신지 않았다. 말라 터지지 않도록 밀랍을 녹여 겉에 칠해서 사용했으며 신코에 조각을 하여 장식하기도 했다. 특히 어린 남자아이가 신었던 채극(彩 )은 진신으로서 뿐만 아니라 마른신으로도 신었다. 또한 양반은 가난하더라도 짚신이나 미투리는 신지 않았기 때문에 남산골에 사는 선비들은 진날이나 마른날이나 나막신을 신어서‚ 가난하고 청빈한 선비를 일컫는 말로 `남산골 딸깍발이`라는 말이 생겼다. 목극의 극( )은 중국 진(晉)에서 생겨났다고 하는데‚ 선조조 임란 전에는 상하가 모두 착용하였으나‚ 걷는 태도가 오만하다고 하여 천민이나 연소자는 어른 앞에서 착용할 수 없었다 한다. 선비들이 착용한 목극은 일본의 게다와 같은 평극으로 그 모양이 도마와 같고‚ 앞의 발가락이 닿는 곳은 끈으로 갈고리를 만들었다. 일본에서도 고대에는 게다가 없었고 평안조(平安朝)에 이르러 비로소 다까게다(足 )라는 것이 생겼는데‚ 이것도 중국의 극에서 나온 것이라 한다. 이 일본식 게다의 형식인 평극은 언제부터인가 자취를 감추고 근래 우리가 볼 수 있는 나막신으로 변했다. 나막신은 평극과 달리 운두가 있게 나무를 파서 만들었으며‚ 밑에는 앞뒤로 높은 굽을 달았고‚ 남녀 구별 없이 착용하였다. 남자용은 앞 뒤 극치( 齒)가 뚜렷하게 나누어지고‚ 여자용은 코가 날카롭고 매끈하며‚ 극치가 인(人)자(字)형으로 되어 있어 서 있을 때 굽의 모양이 여덟 팔(八)자(字)형으로 벌어진다. 제주도의 오동나무로 만든 것을 최상품으로 쳤으며‚ 임진왜란 이후 선조 33년(1600)경부터 상하 모두에게 통용되기 시작했다. 일제 강점기에도 농촌의 많은 사람들이 버드나무로 나막신을 만들어 신었다고 한다. 일본식 나막신인 게다와는 다르게 나무로 신발 바닥을 만들고 발등에 끈 두 개를 연결하여 요즈음의 슬리퍼와 비슷한 모양이었다고 한다. 나막신은 고무신이 등장하면서 서서히 사라지기 시작하여 1940년 이후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거의 사라졌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