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幅巾

추천0 조회수 2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幅巾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복건(幅巾‚  巾)은 머리에 쓰는 건의 하나로‚ 검은 천으로 만든 관모(冠帽)이다. 머리 뒷부분은 곡선으로 하고 앞단에서 귀 윗부분에 좌우 2개씩 주름을 잡되 아래 주름 속으로 끈을 달아 뒤로 돌려맨다. 검은색의 증(繒)이나 사(紗)로 만드는데 온폭[全幅] 천으로 만들므로 복건이라 한다. 조선시대 사대부나 유생들이 심의(渙衣)·학창의(鶴 衣)와 함께 썼으며‚ 초립동은 상투 위에 복건을 쓰고 그 위에 초립을 쓰기도 하였다. 또한 관례 때의 복장으로 초가(初加)때 심의와 함께 사용되었고‚ 관례 뒤 흑립을 쓰기 전까지 초립(草笠)의 받침으로 사용되었다. 근래에는 남자아이의 돌에 장식적 쓰개로 쓰게 하여 관례를 치르기 전끼지 예모(禮帽)로 착용하였다. 『오주연문장전산고』의 고금관건제도(古今冠巾制度) 변증설(辨證說)에서는 "한나라 때에 왕공(?公)들이 선비들의 복장을 마음에 들어하는 이들이 많아 복건 착용하는 것을 고상하게 여겨 과거 천자(賤者)의 복색이었던 복건이 한말(漢末)에 와서 선비의 복색이 되었다"고 했다. 후한(後漢)대부터 유행한 복건은 진·당 때에 차차 은사·도인이 평상시 착용하였으며‚ 송에 이르러 사마광(司馬光)이 복건과 심의를 연거(宴居)의 옷으로 착용하고‚ 주희(朱熹)가 이것을 가례 가운데 추거(推擧)한 다음부터 유자(儒者)들 사이에서 유행하였다. 본 유물은 흑색의 갑사(甲紗)로 만들고‚ 수(壽)·복(福)자(字)를 금박하였다. 금박(金箔)은 금가루나 금종이를 사용하여 의복이나 장식품에 문양을 찍은 것으로‚ 문양을 새긴 판목(板木)‚ 즉 금박판에 접착제를 발라 옷감 위에 찍은 후‚ 금을 두드려 아주 얇게 만든 금판이나 금가루를 그 위에 붙인다. 금박은 부금(附金)이라고도 하는데 금사(金絲)로 문양을 넣어 옷감을 짜는 직금(織金)에서 유래된 것으로 본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