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草笠

추천0 조회수 4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草笠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30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초립(草笠)은 가는 풀(細草)이나 대오리(竹絲)를 엮어 만든 갓이다. 형태는 패랭이와 비슷하나‚ 패랭이의 양태(凉?)는 아래로 약간 우긋한데 비해 초립의 양태는 다른 갓에 비하여 좁으며‚ 가장자리가 위로 약간 휘어져 올라간 것이 특징이다. 또한 모부(帽部)가 좁기 때문에 머리에 얹어놓을 정도이다. 전복(戰服)을 입고 복건(幅巾)을 쓴 후 초립을 쓰는 것이 통례였다. 양반·평민 구별 없이 사용하였는데‚ 『경국대전』예전(禮典) 잡령(雜令)에서 보면 사족(士族)은 50죽(竹)‚ 서인(庶人)은 30죽을 쓰도록 하였다. 죽의 수는 초립을 짤 때 날의 수를 말하는 것으로 곱고 거침을 나타낸 것이며‚ 이것으로 신분을 구별하였다. 이 초립은 흑립(黑笠)이 나타나자 평량자(平凉子)와 함께 상민(常民)의 쓰개가 되었는데‚ 『경국대전』에 의하면 별감(別監)이 주황(朱黃)초립(草笠)을 착용한 것을 비롯하여 궁정(宮庭)의 세악수(細樂手)‚ 사복(司僕)의 견마배(牽馬陪)와 서리(胥吏)의 기복시(起復時)에‚ 창우(倡優)의 연예석(演藝席)에서 이 초립을 착용하여 국말까지 그대로 이어진 듯 하다. 또한 `초립동`이라는 말이 있었는데‚ 이것은 반인(?人) 계급에서 새로 관례(冠禮)한 소년이 흑립을 쓸 때까지는 이 초립을 쓴 데서 나온 말이다. 이 외에 조선시대 가동(歌童)이 융복(戎服)에 쓰던 초립은 주황색 풀[朱黃草]로 만들며 끈을 다고 모자 위에는 공작깃털을 꽂았다. 왕의 강무(講武:국왕이 봄·가을에 사냥하는 의식)나 행행(行幸:임금이 나들이하는 것) 도중에 주악을 베풀 때 가동이 착용하였다. 가동은 초립과 토홍색(土紅色) 면포(綿布)의 단철릭(單帖裏)을 입고 검은 가죽신(烏皮靴)을 신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